한국 민간단체 “대북 수해지원 준비 중”

0:00 / 0:00

앵커 : 북한의 수해 피해가 확산되면서 국제사회의 대북 수해지원이 늘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현재까지 북한에 대한 수해 지원은 검토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민간단체의 수해 지원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달 중순부터 최근까지 한반도 북부지방에는 많은 비를 뿌렸습니다.

그 결과 일부 지역에선 큰물 피해를 봤습니다. 특히 평안남도 지역의 피해가 심각합니다.

북한은 수해 피해와 복구 보도를 이어가며 국제사회로부터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입니다.

북한의 수해 피해가 확산되자 유엔 산하기관 등에서는 얼마 전 북한 큰물 피해를 조사하기도 했습니다. 피해 상황이 정확히 파악돼야 지원 규모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사 결과 많은 이제민이 발생했다며 유엔아동기금 등은 긴급 구호물자를 보내기로 했습니다.

미국도 큰물 피해를 본 북한의 현지 상황을 계속 주시하고 있으며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반면 한국 정부는 경색된 남북관계 때문인지 대북 수해 지원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 :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수혜지원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하지만 한국의 대북 민간단체들은 피해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수해지원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강영식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총장: 여러 단체와 힘을 모아서 추석 이전에 지원하려고 준비 중입니다. 북한의 수해 상황이 심각하다면 그보다 앞당길 수도 있고요.

지원 규모는 지난해 수해 당시와 비슷할 것으로 보이는데, 관건은 한국 정부의 승인 여부입니다.

천안함 폭침에 따른 대북제재로 지금 한국에서는 원칙적으로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만 허용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수해지원이 긴급구호의 성격도 띠고 있는 만큼 허용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처럼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을지 수해지원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이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