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토지생산성 1990년 수준”

0:00 / 0:00

앵커 : 미국의 세계식량정책연구소(IFPRI)는 북한의 토지 생산성이 1990년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한국의 60년 전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워싱턴의 세계식량정책연구소는 지난 23일 공개한 ‘2017년 세계 식량정책 보고서 (2017 Global Food Policy Report)’에서 북한의 농업 생산성 부진을 지적하면서 농작물 생산 증대를 이끌 정책 수립을 제안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13년 기준으로 북한의 토지 생산성이 1헥타르 당 1천 533달러였다면서 1990년 1천 532달러와 비슷하다고 분석했습니다.

북한의 토지 생산성은 1990년 이후 2000년 1헥타르당 1천287달러로 약 16% 감소했다가 2007년 1천 383달러로 증가했고 가장 최근 자료인 2013년에 23년 전의 토지 생산성 수준을 겨우 회복했습니다.

토지생산성이란 토지의 작물생산 능력을 말하며 64미터의 정사각형의 면적인 1헥타르의 토지면적에서 얻는 농업소득을 말합니다.

북한의 토지 생산성은 남한의 4분의 1 수준입니다.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의 통계를 보면 남북한의 농업생산성 격차가 뚜렷하게 확인됩니다.

식량농업기구는 북한의 일인당 농업생산성이 남한의 17% 수준이라면서 최근 10년간 북한 농민 한 명이 일년 동안 생산한 곡물을 달러로 환산하면 1천 131달러라고 소개하며 남한 농민의 일인당 연간 농산물 생산이 6천640달러와의 격차가 크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했던 연구원은 북한 농민이 노력한 만큼 결실을 얻는 성과급 제도의 전면 시행이 시급하다고 당시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키산 군잘 FAO 전 분석관: 일한 만큼 소득을 더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성과제도를 도입해야 합니다. 농사짓는 데 필요한 농자재나 비료 제공에 혜택을 줄 수도 있습니다.

한편, 세계식량정책연구소는 지구상의 굶주리는 사람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서 가난한 나라의 식량 정책과 잘사는 나라의 지원 정책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연구소는 쌀 생산성과 영양가 증대, 추수 후 곡물 유실방지, 기후변화 대처, 수자원 확보, 효율적인 시장과 곡물 교역 그리고 여성과 아이들의 권익보장을 위한 조직 확대 등 6가지 주요 목표를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