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유엔의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에 필요한 올해 예산 중 약 20퍼센트 만이 모금돼 활동에 심각한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됩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대북 지원의 장기화로 국제사회가 이른바 ‘기부자 피로 현상(donor fatigue)’을 보이면서 유엔이 대북 인도적 지원금 모금 활동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19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지난달 30일 현재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 기금 예산 중 22퍼센트 만이 확보돼 예산 부족이 심각하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1990년 대 중반부터 북한은 광범위한 식량 부족을 겪었으며, 홍수와 가뭄 등 빈번한 자연재해가 식량 부족 현상을 한층 심화시켰다고 지적했습니다. 2004년부터 2015년까지 자연재해를 입은 북한 주민의 수가 550만 명이 넘는다는 설명입니다.
보고서는 북한에서 활동하는 유엔 기구와 단체들은 현재 인도주의적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람은 전체 인구의 70퍼센트인 1천 800만 명으로 추정한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의 40퍼센트 이상(41.6%)이 식량 부족과 영양을 골고루 충분히 섭취하지 못해 영양부족(under-nourished) 현상을 겪고 있고, 이런 현상 때문에 임산부와 수유부 그리고 5세 이하의 어린이 등 240만 명이 영양실조(malnutrition)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또한170만 명의 어린이들이 설사병과 폐렴 등으로 인해 사망 위기에 처한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북한 주민 수 백 만 명이 깨끗한 식수와 위생시설 그리고 기본적인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화된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은 국제적 문제에 묻혀 있다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유엔과 민간단체, 국제적십자사 연맹 등은 올해 대북지원의 필요와 우선순위를 정하고 지난 10년 간의 대북 지원이 헛되지 않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지속적인 인도주의적 대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입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은 따라서 북한 주민의 생명을 살리고, 취약계층에 대한 영양 공급을 개선하고, 기본적 시설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보고서는 강조했습니다. 식량과 농업 지원, 보건과 영양, 식수와 위생 개선을 위한 사업에 사용될 1억 2천 200만 달러의 예산액의 모금이 절실하다는 지적입니다.
유엔은 지난 2월과 3월에 중앙긴급구호기금 즉 CERF를 통해 북한에서 활동하는 유엔 기구들에 ‘자금부족긴급지원금’ 800만 달러를 지원했지만, 6월말 현재 필요 예산액에 턱없이 부족한 22퍼센트를 모금하는 데 그쳤다고 밝혔습니다.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은 지난달 발표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16년 지역별 주의 모델(Regional Focus Model)’이라는 보고서에서도 북한을 ‘높은 주의(High Focus)가 요구되는 국가’로 분류하고 북한의 인도주의 위기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