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AID "대북 식량지원 계획없어"

0:00 / 0:00

MC:

미국 정부는 당분간 북한에 대한 식량이나 의약품 등 인도주의 지원 계획이 없다고 국무부의 국제개발처장이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무부 산하의 국제개발처(USAID) 라지브 샤(Rajiv Shah) 처장은 22일 북한의 식량난이 심각하지만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 계획은 없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샤 처장은 이날 미국의 식량문제연구소인 ‘브래드포더월드’(Bread for the World Institute)가 ‘2011 굶주림 보고서’(Hunger Index)를 발표한 기자회견에서 국제기구를 통한 인도주의 지원을 제외하고 미국에서 북한으로 직접 보내는 지원은 당분간 없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라지브 샤:

미국 정부는 수백만 명의 북한 주민이 굶주리는 사실을 심각하게 여깁니다. 북한 주민에 대한 미국 정부의 지원은 세계식량계획 (WFP)과 같은 국제기구와 협력하며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북한에 직접적인 식량지원을 할 계획은 없습니다.

국제개발처는 2008년 세계식량기구와 미국의 비정부단체를 통해 북한에 50만 톤의 식량을 지원했지만 분배 감시와 영양 조사 등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중단됐습니다.

샤 처장은 식량난을 해소하려면 국제사회의 지원에 의존하지 말고 농업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북한 당국에 권고했습니다.

라지브 샤:

긴급 식량 지원으로 식량난을 해결할 수 없습니다. 생산성을 높이는 농업 정책을 도입하고 주민의 영양 섭취와 관련한 조사와 연구를 해서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자생력을 키워야 합니다.

한편, 브래드포월드 연구소는 이날 발표한 ‘2011 굶주림 보고서’에서 미국 의회에 빈곤퇴치와 개발지원을 미국 외교정책의 기조로 삼도록 ‘해외 원조법’의 개정을 제안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