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지난해 대북 인도지원에 필요한 유엔 기금의 모금 실적이 목표액의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016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국제사회의 관심도 멀어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서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을 위한 기금 목표 예산 1억1천350만달러(113,502,775) 중 약 3천540만달러(35,442,343)만 확보돼 예산 부족이 심각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목표 예산의 약 31.2%에 머무는 수치로 2016년 모금액인 약3천800만달러(37,878,003) 보다 약 6% 감소했습니다.
국제사회의 인도주의 지원금 현황을 집계하는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의 자금 모금 현황 웹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대북 사업에는 유엔의 국제구호기금(CERF), 세계식량계획(WFP)과 10개국 등이 지원했습니다.
10개국은 노르웨이, 덴마크, 스위스, 러시아, 캐나다, 핀란드, 스웨덴, 즉 스웨리예, 미국, 프랑스, 그리고 리히텐슈타인 등 입니다.
이 중 국제구호기금(CERF)이 약1천240만달러(12,347,758)로 가장 많이 지원했고, 전체 대북 지원의 34.8%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스위스가 약 500만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 대북 지원의 14.2%를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큰 사업은 식량과 영양 지원 사업이며 전체 지원의77.3%인 2천590만달러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보건 사업에 440만달러, 식수 위생 사업에150만달러가 투입됐습니다.
올해 세계 인도주의지원 보고서(Global Humanitarian Overview 2018)에 따르면 북한의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데 1억 1천400만 달러가 필요합니다.
보고서는 북한 주민 1천800만 명을 포함해 시리아, 예멘, 남수단 등 세계 30개국의 1억 3천570만 명이 국제사회의 인도주의 지원이 필요한 상태라고 진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