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농번기가 다가오면서 북한 돈 주들이 농촌에로 눈길을 돌리고 있습니다. 이들은 간부들과 짜고, 국가 땅을 빌려 농사를 지어 이윤을 남긴다고 하는데요,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에서 국가 토지를 임차해 농사를 지어 돈을 버는 돈주들이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함경남도에서 국경지방을 방문한 이모 주민은 "작년에 돈이 좀 있는 사람들이 국가 토지를 빌려 돈 버는 현상이 급증했다"고 1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 주민은 "함경남도의 한 돈주는 작년에 시당 조직비서와 짜고 농지 열다섯 정보를 빌려 농사지었는데, 본전 7천 500달러를 다 뽑고도 1만5천 달러를 손에 넣었다"고 자랑했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 돈주는 한 정보에 약 500달러를 투자해 직접 농민을 고용해 밭갈이도 시키고, 충실한 종자를 사오고, 비료도 일반 농장보다 두 배 이상 투하해서 정보당 약 1천 달러의 이윤을 올렸다는 겁니다.
농촌에 투자하는 돈주들은 함경남도 뿐 아니라 다른 지방에서도 나타났습니다.
평안남도에서 중국에 여행 왔다는 박 모 주민도 "내륙지방에도 땅에 투자한 사람들이 적지 않다"면서 "이렇게 땅 장사를 하려면 군에서 제일 높은 간부들을 끼지 않고서는 어림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군당 책임비서나 인민위원회 위원장 등 지방에서 손꼽히는 간부들과 거래하여 지방이 보유한 부업기지 같은 곳에 손을 뻗친다는 것입니다.
박씨는 "북한에서 토지는 여전히 국가 소유이기 때문에 협동농장 토지를 빌리기보다는 공장, 기업소가 관리하는 부업지 등을 빌려 농사를 짓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주민은 "요즘 북한에서 농사만큼 확실한 장사는 없다"면서 "땅은 투자한 만큼 이윤이 나오는 아주 매력 있는 투자처"라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북한에서 분조관리제, 포전 관리제를 전면 실시하는 등 농지개혁 바람이 불자 돈주들이 농촌에 투자하는 현상이 나타났다는 설명입니다.
북한은 2012년에 일부 협동농장을 시범단위로 분조관리제를 실시해보고 이윤이 나자, 지난해부터는 가족단위 영농제도인 포전관리제를 전국범위로 확대시켰습니다.
하지만, 북한당국은 땅에 투자하는 이러한 행위를 전형적인 '자본주의 싹'으로 지목하고, 엄단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평안남도의 주민은 "며칠 전에 보안부와 검찰소 등 단속기관에 국가 농경지를 빌려 돈벌이하는 자들을 강력 단속하라는 중앙의 지시가 내려졌다"면서 "올해도 돈주들이 밭에 계속 투자할 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