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북한에서 개인 판매를 목적으로 건설되는 아파트들이 수도 평양에 이어 지방 도시들에도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개인 간 주택 매매를 일체 금지하던 북한의 주택 보급정책이 김정은 정권 들어 점차 바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국의 묵인 아래 단위기업소가 주민들에 팔기 위해 건설하는 아파트들이 수도 평양에 이어 지방 도시들에서도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이 북한주민 소식통들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
중국을 방문한 북한 주민들은 수도 평양 외에 신의주와 혜산, 평성 등지에 이 같은 개인
판매목적의 아파트들이 건설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이들 아파트들은 외화로만 거래되고 있기 때문인지 주민 소식통들은 모두가 ‘달러주택’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신의주의 한 주민 소식통은 “이런 달러주택들은 주택 건설을 위해 자재를 외화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사전에 계약금 명목으로 일정금액을 내야하며 한꺼번에 주택값을 모두 지불하면 집값을 깎아주기도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주택 가격은 주택 크기에 따라 편차가 커서 얼마라고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약 100평방 규모의 아파트의 경우 미화로 약 3만 달러 안팎인데 실내장식을 전혀 하지 않았기 때문에 입주하려면 수 천 달러의 추가 비용이 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함경남도의 주민소식통은 “함흥에는 아직 달러 주택이 나오지 않았는데 혜산에서는 달러 주택을 짓고 있다”면서 “집값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지만 신의주보다는 조금 눅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평양의 한 주민 소식통은 “평양뿐만 아니라 평성에서도 적지 않은 ‘달러 주택’이 건설되고 있다”면서 “하지만 남포에서는 아직 ‘달러 주택’에 관한 소식을 듣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주민들의 증언을 종합해 보면 주택을 지어도 주민들 중 이를 구매할만한 구매력이 있는 도시들 중심으로 판매용 주택이 지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주민 소식통들은 공히 “이들 주택은 개인이 구매를 하더라도 국가 소유로 등록되며 이미 주택이 있는 사람들은 구매할 자격이 주어지지 않는다”고 증언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주택들의 구매는 돈이 있는 상류층 사람들 중에 결혼을 한 자녀들이나 결혼을 앞둔 자녀들 몫으로 구매 하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주민들은 또 “이 같은 ‘달러주택’의 등장으로 돈이 있어도 주택을 구입할 수 없었던 일부 상류층 사람들에겐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것이지만 대다수 주민들에겐 그림의 떡”이라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의 대북 관측통들은 “북한이 그간 금기시해온 판매용 주택 건설을 묵인하는 것은 국가가 감당하지 못하는 주택난 해소와 또 이를 통해 주민들의 장롱 속에 숨겨진 외화를 끄집어 내려는 다목적 포석이 깔려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