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대북무역에 종사하는 중국상인들에게 '융성사업' 명목으로 기부금을 요구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소식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조국(북한)의 융성번영에 적극 이바지 하라.”
이 말은 북한당국이 대북무역사업에 종사하는 중국상인들에게 기부금을 요구하면서 흔히 쓰는 말입니다.
함경북도 나선시를 오가며 대북무역에 종사하고 있는 중국 조선족 상인 류모씨는 26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에 입경할 때마다 관계기관이 툭하면 ‘융성사업’ 명목으로 기부를 요청한다”면서 “올해는 노동당 7차대회를 맞아 성의껏 해달라고 해서 1천 위안 정도를 기부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상인은 “북한 기관이 요구하는 ‘융성사업’ 기금은 처음 듣는 소리는 아니고, 이미 이전에도 여러 명목으로 기부하라는 요구를 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례로, 지난해 8월 선봉지구에서 대규모 홍수피해가 발생했을 때도 북한은 중국 보따리 상인들에게 1인당 500~1,000위안씩 기부하라는 요구를 했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나선시 주민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중국상인들로부터 걷은 돈으로 건축자재를 들여다 살림집 복구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자연재해가 없는 지금도 북한당국은 ‘조국(북한)의 융성번영사업에 기여해달라’고 상인들에게 요구하는데, 실제로 융성사업에 쓰이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 상인은 “나선에 진출한 중국 상인들 가운데는 수산물과 약초 장사하는 보따리 상인들이 적지 않은데, 기부금 요구에 부담을 느낀 일부 사람들은 나선에 나가기를 꺼리는 경향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또 “나선시에 크게 투자한 사람들은 대부분 장기거주하고 있는데, 이런 사람들에게는 얼마나 요구하는지는 모르겠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북한은 김정은 체제 들어 유난히 ‘융성번영사업’이라는 단어를 즐겨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에 정착한 30대의 탈북자는 “김정은 체제 들어 평양시에 릉라인민유원지와 미래과학자거리, 과학기술전시관 등 위락시설이 대대적으로 건설됐는데, 북한 매체들은 ‘조국(북한)이 나날이 융성발전하고 있다’고 선전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처럼 평양시에 집중적으로 전시성 건축물을 짓는데 필요한 재원을 충당하기 위해 북한은 해외 파견 근로자들이나 외화벌이 주재원들에게 갖가지 명목의 외화벌이 항목을 들이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생전에 ‘강성대국’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했지만, 현재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는 ‘자강력’이라는 구호로 바꾸는 등 자기만의 색채를 나타내는 선전구호를 제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