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당국이 오는 16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을 맞아 명절 분위기를 띄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국제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HRW)가 이에 대한 성명을 내놨습니다. 김 위원장의 생일은 전혀 축하할 것이 없고 그의 집권기를 회고해보면 대량 아사와 조직적인 인권 유린 등만 연상된다는 것입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13일 성명을 통해 김정일 위원장은 17년 집권 기간 북한 주민들을 최악의 기근으로 몰아넣었고 조직적인 반인도적 인권 범죄를 자행했다고 비판했습니다.
1990년대 중반 북한의 대규모 기아 사태로 최대 350만 명의 북한 주민이 아사한 것으로 알려졌고 당시 가장 피해를 덜 당한 이들은 바로 북한 군인과 정부 엘리트 계층이었다는 설명입니다.
이 단체의 필 로버트슨(Phil Robertson) 아시아담당 부국장은 김 위원장이 북한 주민의 복리보다 정권 유지를 더 중요시하면서 ‘선군정치’를 기치로 내걸고 갖은 인권 유린과 폭정을 일삼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불행한 것은 그의 아들인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도 현재 거리낌 없이 대를 이어 같은 정책을 답습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단체의 존 시프톤(John Sifton) 아시아옹호담당관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김정은 제1비서가 주민들에게 일부 경제적 자유를 허용하고 있지만 국경봉쇄나 정보통제는 더 강화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시프톤 담당관: 중요한 통제 체제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탈북 시도나 한국 측과의 접촉이나 통신, 또 외부와의 정보교류 등을 적극적으로 단속하고 있습니다.
이 단체는 성명에서 김정일 집권기 경제 실정도 지적했습니다.
2002년 일부 경제자유화 조치를 취하고 시장을 허용했지만 2009년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북한 서민들의 여유 자금을 모두 몰수해갔고 이후 좌절한 주민들의 대량 탈북사태까지 이어졌다는 것입니다.
북한 인권 문제와 관련해선 관리소로 불리는 정치범 강제 노동수용소에 8만에서 12만 명이 수감돼 있고 이들은 기아와 강제노동, 고문과 처형 등 심각한 인권 유린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단체의 로버트슨 부국장은 지난해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활발한 활동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의 북한 인권 논의 등을 거론하면서 이제야 북한 정권의 잔혹한 인권 유린 행태와 그 기록이 국제사회의 논의 의제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는 북한의 인권유린 범죄자들이 반드시 정의의 심판을 받고 그 대가를 치른다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