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응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중국 기업이 북한 나진시에 공공버스회사를 설립키로 하고 버스 공급에 나서기로 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이 북한에서 공공버스 운행 사업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현지 언론은 북한과 접경한 중국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 훈춘의 취안허통상구를 통해 지난 26일 중형버스 2대가 북한으로 수출됐다고 27일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해당 차량은 훈춘시 검험검역국의 통관검사를 거친 뒤 곧바로 북한 나진시로 운송됐으며 공공버스로 이용될 예정입니다.
중국 언론은 이미 중국내 한 자동차 관련 기업이 나진시에서 공공버스 운행을 위해 회사설립 등 준비에 들어갔다고 전했습니다.
이 중국 회사는 기존의 낡은 버스들을 새 차량으로 점차 교체해 나갈 계획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수출이 향후 버스 교체를 위한 첫 수순으로 앞으로 더 많은 차량이 북한으로 보내질 예정입니다.
중국이 버스 공급을 통해 나진시내에서 공공버스 운행에 나서기로 한 건 북한 내 대중교통 운행 사업을 점차 확대중인 것으로 볼 수 있어 주목됩니다.
중국의 운수기업들은 이제껏 평양 시내 등 대도시에서 점차 확장되고 있는 택시 운행에 합작 투자 형식으로 차량 등을 제공한 뒤 사업에 참여해왔습니다.
특히 중국의 나진 시내 공공버스 운행 참여는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응에 국제사회가 대북 경제제재 강화를 추진중에 이뤄져 눈길을 끕니다.
북중 간 교역도 제재 대상으로 삼자는 미국 등의 입장과 달리 중국은 양국 간 소규모 경협은 그대로 유지한다는 뜻으로 해석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임은정 교수는 대북 경제제재가 효력을 발휘하려면 중국의 참여가 필수라고 지적했습니다.
임은정 : 중국이 적극적으로 (대북)제재 조치에 가담하지 않는다면 그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