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중국이 유엔의 강력한 대북 제재 결의에 이례적으로 이행 의지를 밝히면서 북중 간 경제협력에 미칠 파급 효과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3차 핵실험과 관련해 강력한 대북 제재 결의를 채택할 예정이라는 언론 보도가 잇따르던 지난 6일 오후.
중국의 연변신문망에는 ‘훈춘~북한 전력 공급사업이 순조롭게 진행중이다’는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훈춘신문망을 인용한 이 기사는 연초부터 훈춘시가 해당부문 전문가들로 소조까지 구성해 대북 송전사업 진척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 총 사업비가 2억8천800만 위안 (약 4천600만 달러)에 달하는 대북 송전 사업이 이미 기초 설계와 토지 수용 공고 등 준비작업이 마무리됐다고 덧붙였습니다.
훈춘에서 북한 나선특구까지 총 97.8 km의 송전선로를 설치하고 나선시에 변전소를 건립하는 이 사업은 북중경협의 핵심 사안중 하나로 주목받았습니다.
중국의 대북 송전사업이 순조롭게 진행중이라는 연변신문망의 이번 보도는 별로 새로울게 없고 오히려 뜬금없는 분위기마저 풍깁니다.
연변인터넷방송이 이미 지난 달 중순 훈춘시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대북 송전사업이 오는 6월께 마무리될 전망이라고 보도한 바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태도는 올 들어 북한의 잇단 도발에도 지린성 등 북한과 국경을 접한 중국 지방정부가 북중경협 확대 의지를 계속 천명하고 있는 것과 맞닿아 있다는 지적입니다.
중국이 이례적으로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를 준수하려는 의지를 내비치면서 북중경협에 지역발전의 사활이 걸린 접경지역 지방정부가 조바심을 내고 있다는 겁니다.
실제 중국 정부는 최근 관련 부처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를 철저히 이행하라는 이례적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의 달라진 태도가 앞으로 북중 간 경제협력에 미칠 파급 효과에 관심이 쏠리는 부분입니다.
한국 통일연구원 박형중 선임연구위원은 이와 관련해 중국의 대북 투자 심리가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박형중 선임연구위원: 북한을 상대로 한 중국의 모험자본, 즉 투기자본은 항상 있어왔지만 이것도 실제로 (투자가) 성사됐다는 얘기는 아직까지 별로 없는 데 (북한이) 핵실험까지 한 상태여서 앞으로 성사가 더 어렵겠죠, 이제.
중국의 대북지원은 그 동안 국제사회의 엄격한 제재 속에서 북한 경제에 그나마 숨통을 틔워준 요소였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북한 주민들이 앞으로 더 이상 허리띠를 졸라 매지 않도록 하겠다던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지난해 다짐이 공염불로 끝날 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