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지난해 중국에 석탄 10억불 수출

0:00 / 0:00

앵커 : 북한이 지난해 매달 평균 120만 톤의 석탄을 수출해 10억 달러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10억 달러를 포함해 2011년부터 중국에 대한 석탄 수출로 약 50억 달러의 외화를 벌어들였습니다. 지난해에는 2013년 같은 기간 12억 달러에 비해 약간 감소했지만, 북한의 대 중국 석탄 수출은 2010년 급증한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왔습니다.

북한전문 웹사이트 NK News는 9일 중국 해관 무역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이 같이 전하고 석탄이 북한의 가장 중요한 대 중국 수출품목이라는 미국 서부 노틸러스 연구소(Nautilus Institute for Security and Sustainability)의 데이빗 본 히펠(David Von Hippel) 박사의 분석을 소개했습니다.

히펠 박사는 2010년 440만 톤 가량이던 북한의 대 중국 석탄 수출량은 2011년 1천만 여 톤으로 급증했고, 이후 2012년 1천 100만 여 톤, 2013년 1천 500만 여 톤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이 1992년 한국과 중국 간의 국교정상화 이후 중국 지도자로서는 처음으로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와의 면담에 앞서 한국을 먼저 방문하는 등 북한의 핵개발 등에 대한 중국의 불편한 심기가 엿보이는 정치 상황과 얼핏 걸맞지 않아 보이는 무역 통계입니다.

그러나 초대 북한주재 영국 대리대사를 지낸 제임스 호어 박사는 중국과 북한은 단순화할 수 없는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호어 박사 : 중국은 한국 전쟁 당시 북한에 많은 수의 군대를 지원하는 등 혈맹관계를 이어 오고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양국 간에는 복잡한 이해 관계가 얽혀 있는 것입니다.

중국은 늘 자국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고 따라서 북한이 2013년 2월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3차 핵실험을 강행하면서 북∙중 관계가 삐걱거리기 시작했다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계속 북한에 식량과 연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른바 두만강 삼각주 문서화 프로젝트(Tumen Triangle Documentation Project)의 일환으로 지난 봄 북∙중 국경지대 중국 도시들의 경제발전 실태를 답사한 크리스 그린(Chris Green) 씨는 양국 간 무역이 정치적 상황에 결정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고 분석했습니다. 장성택 처형 후 관련된 인물의 숙청 등에 일부 활동이 지장을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 양국 간 무역은 여전히 활발하다는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