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최대의 수출상품이자 주요 외화벌이 자원인 석탄이 새해 들어서부터 중국에 들어오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왜 그런지,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이 지난해 매달 평균 약 120만 톤을 수출해 약 10억 달러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알려진 북한의 최대 효자 수출품인 석탄의 대 중국 수출에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
도시 대기환경 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는 중국 당국이 매연의 주범으로 꼽히는 석탄연료 사용에 대해 단속의 칼을 빼 들었기 때문입니다.
중국 텐진(天津)에서 발행되는 매일신보(每日新報)는 지난해 11월 26일 “지구 온난화 문제로 난방 석탄을 태울 때 유황기준치를 초과하면 엄격히 처벌”이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난방용 석탄에 함유된 유황 성분이 0.5%를 초과한 석탄을 사용한 업체에 벌금 폭탄을 내린 사실을 소개했습니다.
신문은 또 텐진의 환경보호부문 기관이 석탄을 사용하는 400개 보일러 관련 회사를 조사해본 결과 유황성분이 0.5% 이내인 연료합격품 석탄을 사용하는 업체는 80% 정도이고 나머지는 불합격 연료를 쓰고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0.5%의 유황을 초과하는 석탄 사용을 금지한다는 설명입니다.
중국 단둥에서 북한산 석탄을 10년 넘게 수입해온 무역업자 왕모 씨는 “중국 당국이 강력하게 석탄에 함유된 유황성분을 규제하기 때문에 올 들어서는 아직까지 북한산 석탄이 단 1톤도 중국에 반입되지 않았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발열량이 60Kcal/kg가 넘는 고품질의 북한산 석탄이라 해도 유황 함량이 높아 0.5% 이하의 유황성분 규제치를 초과한다는 겁니다.
“텐진의 매일신보 기사에 따르면 텐진시에서 사용하는 석탄의 80%는 연료 합격품이라는 조사결과가 있었다”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지적에 왕모 사장은 “양질의 석탄인 경우 채탄한 석탄을 건조시키면 중국에서 규제하고 있는 0.5% 유황 규제치를 맞출 수 있다”면서 “북조선 석탄의 경우 이런 과정 없이 그대로 중국에 내오기 때문에 수입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건조는커녕 중량을 늘리기 위해 석탄에 수분을 더 첨가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 주민 소식통은 “중국에서 유황성분을 규제하는 규정이 있는지는 잘 모른다”면서 “그러나 그런 규제 여부와 관계없이 현재 우리 내부상황이 석탄을 수출할 만한 사정이 못 된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작년부터 이어진 가뭄 탓에 모든 수력발전소가 가동을 멈추었다”면서 “추운 날씨 탓에 석탄 생산량이 크게 줄어든 데다가 생산된 석탄은 모조리 화력 발전소로 보내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처럼 중국의 환경정책과 북한의 내부사정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탓에 북한산 석탄의 대중국 수출에 빨간 등이 켜졌으며 이 같은 상황은 앞으로도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중국의 대북소식통들은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