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중국의 북한산 석탄 수입문제가 국제적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중국은 반발하고 있지만 신뢰도가 낮다는 분석입니다. 홍알벗 기자의 보도입니다.
미국의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은 22일, 중국 관세 당국의 자료를 토대로 중국이 지난 해 12월 북한으로부터 200만 톤의 석탄을 들여왔다며 이는 지난 18일 중국 정부가 북한산 석탄 수입을 중단하겠다던 약속을 어긴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해 11월 말에 채택한 대북제재 결의 2321호에서 정한 그 해 12월 북한의 석탄 수출 상한선인 100만톤보다 두 배나 많은 양입니다.
이 때문에 중국이 유엔의 대북제재결의를 위반했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중국측은 이에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중국 정부는 유엔 대북제재 결의 채택과 이행 시기가 다른, 즉 시차 때문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중국의 전통적인 대북정책의 모습이라며 비판합니다.
북한문제 전문가인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수석 고문은 중국이 북한산 석탄 수입 중단을 밝힌 이유가 미국을 6자회담에 나오게 하려는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최근 중국은 북한으로부터 4천 톤의 액화석유가스를 수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북한의 외화벌이를 지속적으로 돕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의 북한 전문매체인 데일리NK는 23일, 공식적인 북한 석탄 수입은 모두 중지됐지만 중국의 르자오항으로는 통관을 거치지 않은 석탄이 계속 들어왔다면서 규제 이후에도 중국 상인들이 석탄을 밀수해 왔다고 전했습니다.
대북 소식통은 “북한산 석탄 무역 규제가 강화된다고 해도 결국 그때뿐”이라면서 “석탄을 사고파는 북한과 중국의 무역회사 간에는 실익을 위해 우회 경로를 찾기 마련”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향후 중국이 북한산 석탄수입 중단과 같은 유엔의 대북제재를 얼마나 성실히 이행할 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