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함경북도 당국이 중소지구 탄광기업소들을 살리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지역경제를 살리고 인민생활을 안정시키려면 지역 중소탄광 기업소들을 살리는 방법밖에 다른 길이 없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함경북도 당위원회가 인민생활 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는데 주민들로부터 오히려 비웃음을 사고 있다고 복수의 현지 소식통들이 언급했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간부소식통은 “10월 25일에 진행된 ‘도당확대전원회의’에서 인민생활 안정을 위한 여러 가지 대책들이 심각하게 토의됐다”고 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회의에서는 인민생활 안정을 위해 중소규모 탄광들을 살리는 문제가 우선적으로 결정됐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함경북도에는 ‘6.13탄광’과 ‘오봉탄광’을 비롯해 큰 탄광들 있으나 인민생활 향상에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규모가 큰 탄광들은 모두 군수공업인 ‘2경제위원회’ 소속이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함경북도는 바다를 끼고 있지만 ‘대흥무역’과 같은 국가외화벌이기관들이 ‘어업권’을 독점하고 있어 일반 주민들은 바다에 나가기 어렵다고 그는 이야기했습니다. 한마디로 돈이 될 만한 자원은 모두 북한당국의 소유여서 지역 주민들의 생활 안정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이와 관련 또 다른 함경북도의 소식통은 “멎어선 공장기업소들을 살리려 해도 그렇고, 겨울철 당장 급한 주민들의 땔감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선적으로 중소규모 탄광들을 살려놓아야 한다”고 4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중소규모 탄광들을 살릴 데 대한 도당의 결정은 “간부들이 먼저 나서 겨울나이 준비를 비롯해 인민들의 어려운 생활문제들을 풀어주어야 한다”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10월 16일 방침에 따라 내려진 것이라고 그는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중소규모 탄광들을 살려 지역 인민들의 생활을 안정시킨다는 함경북도 당위원회의 결정은 주민들의 큰 비웃음을 사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중소규모 탄광들을 살리려면 우선 동발 목(갱 버팀목)부터 모두 교체해야 하는데 어림잡아도 그 기간은 2년 정도가 넘게 걸릴 것이라는 게 소식통들의 말입니다.
때문에 함경북도의 주민들은 중소규모 탄광들부터 살려 인민생활을 안정시킨다는 함경북도 당위원회 결정에 대해 “중앙에서 내리먹이니 마지못해 시늉을 내는 속이 빤히 바라다 보이는 행위”라며 비난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이야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