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북 채무 100억 달러 탕감 서명

0:00 / 0:00

앵커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이 진 채무를 대부분 탕감해주는 내용의 북러 협정 비준안에 최종 서명했습니다. 러시아는 남은 채무액을 북한을 통과하는 가스관과 철도 건설 등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러시아가 옛 소련 시절 북한에 빌려준 뒤 그 동안 돌려받지 못했던 채무액 110억 달러 중 90%를 탕감하기 위한 법적 절차를 마무리했습니다.

6일 국영 ‘러시아의 소리’ 방송 등 러시아 언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채무 탕감을 골자로 한 양국 간 협정안에 최종 서명했습니다.

협정에 따르면 러시아는 총 채무액 110억 달러 중 100억 달러를 탕감하고 나머지 10억 달러는 북한의 보건, 교육, 에너지 관련 사업에 재투자하게 됩니다.

러시아 측은 앞으로 20년 동안 40회에 걸쳐 분할 상환될 이 채무액을 러시아에서 북한을 거쳐 한국으로 연결되는 가스관과 철도 연결 사업에 재투자할 계획입니다.

가스관과 철도가 북한 지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러시아 측이 북한에 지불해야 할 토지 사용료 등에 남은 채무액을 활용한다는 복안입니다.

세르게이 스토르착 러시아 재무차관은 지난달 국가 두마에 출석해 북한이 이 제안에 확답을 하진 않았지만 협상 가능성을 열어뒀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1990년대 초 소련이 붕괴한 직후 채무 상환을 중지했습니다.

이후 북한과 러시아는 채무 상환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지만 20년 가까이 별 진전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러시아의 소리 방송 ( 녹취 ): 조선의 채무 문제는 오랫동안 러시아와 조선의 관계에서 해결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조선은 처음에는 채무를 인정하지 않다가 그 후에는 이 채무는 조선이 '사회주의 동방초소'를 수호하느라고 생긴 것이기 때문에 완전히 면제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양국 간 무역에서 러시아 루블화를 결제 통화로 사용키로 합의하는 등 최근들어 경제협력을 부쩍 강화하고 있습니다.

양국 관계에 걸림돌로 작용해온 채무 탕감 문제가 마무리됨에 따라 러시아 측이 공을 들여온 한반도 관통 가스관과 철도 건설 사업이 탄력을 받을 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