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당국이 가을걷이를 위해 모든 공장기업소, 주민들을 대상으로 '농촌지원 총동원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정작 농민들은 당국이 농촌지원을 빌미로 알곡을 수탈한다면서 '지원노력'을 강하게 거부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 당국이 9월 10일, 전국의 모든 공장기업소, 인민반 부양가족들에게 가을걷이 총동원령을 내렸다고 복수의 북한 내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하지만 협동농장들은 동원노력을 받아들이기를 매우 꺼려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언급했습니다.
자강도의 한 소식통은 “각 시, 군들마다 중앙당 비서처급 간부들로 가을걷이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가 조직됐다”며 “비서처급 간부들이 협심하여 ‘가을걷이를 제때에 끝내라’는 것이 중앙의 지시”라고 1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비서처급 간부는 북한 노동당 중앙위 비서처에서 비준 발령하는 간부들로 각 시, 군의 당비서들, 지역 보위부장, 인민보안부장, 인민위원회 위원장과 농촌경영위원회 위원장이 여기에 속한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러나 ‘비상대책위원회’에서 각 공장기업소, 인민반들에 가을걷이를 지원할 협동농장들을 지정해 주었지만 협동농장들에서는 “아직 낱알이 덜 여물었다”다는 등 이런 저런 이유를 내세워 이들의 노력지원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11일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오늘아침 혜산시에 처음으로 서리가 내렸다”며 “강한 서리나 눈이 오게 되면 양강도의 기본 농작물인 감자가 모두 얼어버릴 수 있어 당장 가을걷이가 시급하다”고 말했습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양강도의 협동농장들은 농민들의 반발로 하여 지원노력을 투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양강도의 농민들은 “설령 감자를 그냥 버리면 버렸지, 지원노력은 절대로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소식통들은 이렇게 농민들이 지원노력을 거부하는 원인을 북한 당국의 가혹한 수탈행위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자강도의 소식통은 “농사도 시원치 않게 된데다 ‘포전책임제’ 도입 후 알곡 수확량의 70%를 국가가 가져가고 나머지 30%를 농민들에게 나누어 준다는 약속을 중앙에서 단 한 번도 지키지 않았다”고 비난했습니다.
양강도의 소식통도 “농민들은 지원노력의 대가를 국가가 가져가는 70%에서 떼어내야지 자신들의 몫 30% 에서 떼어내는 게 말이 되느냐며 반발하고 있다”면서 “지원노력의 몫까지 떼어내고 나면 자신들에게 차례질 식량은 거의 남지 않게 된다”고 농민들의 절박한 현실을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