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 가뭄 확인…지원하기엔…”

0:00 / 0:00

앵커: 북한에 심각한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통일부는 29일 북한 내 현재의 가뭄 상황을 가지고 대북 지원 여부를 결정하기엔 시기적으로 이르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통일부 김형석 대변인은 기상청에 문의한 결과 북한이 현재 가뭄 피해를 입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확인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북한이 “50년만의 가뭄”을 겪고 있다는 북측의 보도도 인용했습니다.

가뭄 피해로 인해 북측의 올해 작황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대북 인도적 지원을 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김형석 대변인은 아직은 지원 여부를 결정할 시점이 아니라는 취지의 답변을 내놨습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가뭄이라는 것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지만, 기상이라는 것 자체가 우리가 알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조만간 그것이 또 해소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단계에서 현재 그 가뭄을 가지고 곧바로 북한의 작황의 어려움, 그리고 식량난으로 연계해서 바로 생각하시는 것은 아직까지는 좀 시기적으로 이르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북한에는 지난 4월27일 이후 거의 비가 내리지 않고 있으며 특히 북한의 서부 해안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고 미국의 AP통신이 북한의 남포발로 28일 보도했습니다.

AP통신은 또 “지난 4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이 이어지면서 미국과 한국 등 외부로부터의 지원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국 통일부의 김형석 대변인은 북한의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한국 정부가 할 수 있는 선에서 다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면서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대규모 식량지원”이라고 말했습니다.

대규모 지원은 “단순히 인도적 차원으로만 보기에는 적절치 않은 측면이 있기 때문에 당국 간 대화를 통해서 해결해야 할 부분”이라는 설명입니다.

미국 정부의 대북 인도적 지원은 이른바 ‘2.29 합의’로 재개될 예정이었지만 지난 4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로 무산된 상태입니다.

미국은 2008년 부시 행정부 당시 50만 톤의 식량을 북한에 지원하기로 약속하고 17만 톤을 지원했으나 분배 투명성 문제로 갈등이 빚어지면서 2009년 3월 나머지 33만 톤의 지원을 중단한 바 있습니다.

한국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 이행을 강조하는 이명박 정부가 2008년 들어선 이후부터 대규모 대북 식량 지원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