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당국이 매 인민반 단위로 중국산 전력적산계를 새로 설치하고 전력소비를 제한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할당된 전력을 초과 소비한 인민반에 대해서는 가차 없이 전기를 끊어 주민생활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서울에서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매 가정세대들에 전력적산계를 설치하기 시작한 것은 1988년부터입니다. 세대별로 전기세(요금)를 받기 위한 작업이었지만 중도에 포기하고 말았습니다. 주민들이 수시로 전력적산계를 초기화시켜(조작해) 전력사용량을 측정할 수 없게 되자 대신 전력을 인민반별로 배분하는 송배전부를 통해 사용량을 조절했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26일 “한때 평양통신기계공장에서 만든 ‘전력적산계’를 전국에 설치하려다 실패했는데 이제는 개별적인 가정세대가 아니라 인민반별로 중국산 전력적산계를 설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요즘은 송배전부에서 인민반에 들어오는 종합전기선에 전력적산계를 설치해 소비량을 감시하기 때문에 단속이 쉬워졌다”며 “인민반에 한정된(배정된) 전력사용량을 초과하면 무조건 종합전기선을 끊어 전력사용을 단속하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송배전부에서 승인한 세대당 전력소비량은 매달 200W(와트)인데 이는 조명등 하나와 텔레비죤을 보는데 소요되는 량”이라며 “세대수에 따라 배당된 전력소비량은 인민반에 설치된 전력적산계만 보면 쉽게 알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매 가정세대 당 전기세는 가전제품의 숫자에 상관없이 한 달에 22원이다”며 “김정일 시대인 2002년 ‘7월1일 경제조치’로 쌀은 35원, 전기세는 22원으로 정했는데 지금도 변함이 없다”고 27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비록 전기세가 저렴하다고 해도 변압기와 전주대(전봇대), 전기선을 교체하는 비용 일체는 인민반 세대들에서 자체로 부담해야 하는데 변압기 한 대를 수리하자고 해도 북한 돈 몇 십만 원이 훌쩍 뛰어 넘는다”고 언급했습니다.
“얼마 전 41세대로 구성된 주변 인민반에서 변압기 고장으로 북한 돈 백만 원의 수리비용이 발생했다”며 “매 가정세대가 수리비로 중국인민폐 20위안씩 부담한 사례를 볼 때 절대로 전기세가 낮은 것은 아니다”고 소식통은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더욱이 배당된 전력소비량을 초과한 인민반은 무조건 송배전부에서 한 달간 전기 공급을 중단해 냉장고나 전기밥가마(밥솥)가 있어도 사용할 수 없다”며 “만약 사용하다 걸리면 인민반 주민들로부터 집단비판을 받게 된다”고 말해 전력난으로 인해 주민들이 전력사용 실태까지 서로 감시하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