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전자결제방식 확대 도입

0:00 / 0:00

ANC: 북한 당국이 전자결제방식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전자상거래를 할 수 있는 서비스방식을 내놔 주목됩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북한 당국은 지난 8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상연’이란 이름의 전자상거래, 즉 전자상업체계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에서의 전자상거래란 가정에서 국가컴퓨터망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소비자가 상품 소개자료를 보는 것은 물론, 상점에 돈을 들고 직접 가지 않고도 컴퓨터망을 통해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이때 물건값을 가정에서 컴퓨터망을 통해 지불하는 것을 ‘전자결제방식’이라고 하는데 북한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전성’이란 이름의 카드를 이용해야 합니다.

북한은 상업발전 추세에 맞추고 소비자의 편리를 위해 현금지불방식이 아닌 전자결제방식을 전국 어디서나 24시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전성’ 카드라는 것이 은행이나 카드 회사로부터 돈을 빌려 일단 결제한 뒤 나중에 갚는 크레딧카드인지, 아니면 은행에 예금돼 있는 금액만큼만 결제할 수 있는 현금카드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북한에서는 예전에도 평양에 있는 서평양백화점 등 특권층과 외국인을 위한 일부 상점에서는 현금카드를 이용한 전자결제가 가능했지만 전국 단위의 카드 사용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일단 북한 전문가들은 긍정적인 반응입니다.

한국 국민대학교의 안드레이 란코프 교수는 북한은 현재 시장경제와 자본주의 경제 체제로 빠르게 변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며, 그런 면에서 카드를 이용한 전자결제의 확산은 바람직하다고 말했습니다.

안드레이 란코프 교수 : 사실상 김정은 제1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지도자들은 말로만 사회주의 이야기를 하고 있지, 경제발전을 위해서 나라의 발전을 위해서 시장 개방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현재 북한의 국영은행인 중앙은행이 전국 단위의 전자결제를 관리 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갖췄냐 하는 겁니다.

란코프 교수는 북한 간부층이나 중앙은행 측이 결제방식으로 인한 이득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기반시설을 닦아 놓겠지만 당장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습니다.

안드레이 란코프 : (북한 관리들은 전자결제방식을 도입해도) 북한의 은행 구조를 근대화할 수 없다는 것을 알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북한은행의 기본 목적인 화폐정책과 식량정책을 시장경제 체제에 맞게 관리할 수 있는 은행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전자상거래 확대와 전자결제방식 도입이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로 나아 가고 있는 북한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단적인 예라는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분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