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의 식량실태를 조사하고 돌아온 유럽연합의 평가단이 빠르면 이번주 내에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의 식량 지원 요청과 관련한 유럽연합의 자체 식량평가단이 예정보다 며칠 빨리 벨기에의 유럽 집행위원회 산하 인도지원사무국으로 돌아가 공식 보고서를 작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벨기에의 브뤼셀에 본부를 둔 유럽 집행위원회 산하 인도지원사무국(ECHO:European Commission’s Humanitarian Aid & Civil Protection)의 페레즈 디아즈(Perez Diaz) 공보담당관은 자체 식량평가단이 빠르면 이번 주말에 공식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20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디아즈 공보관:
방북단이 예정보다 일정을 며칠 단축해 돌아와 공식 보고서를 준비중에 있는데요. 이르면 이번주 말까지 보고서가 나올 수 있습니다.
디아즈 공보관은 자체 평가단의 조사 내용과 관련해 협의가 많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보고서 발표가 지연될 수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긴급지원이 필요한 나라의 지원요청에 대한 대응은 하루라도 빨리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인도지원사무국의 기본 방침이지만 공공자금으로 지원사업을 하는 입장에서 지원의 필요 여부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도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디아즈 공보관은 아직 보고서가 나오지 않아 유럽연합의 대북 식량 지원의 규모나 시기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평가단이 20일 인도지원사무국에서 내부 보고를 마친 후 21일에는 집행위원회에 보고하는 등 추가 절차가 필요하다는 설명입니다.
유럽연합은 지난봄 발표된 유엔의 식량평가단의 조사와 별도로 충분한 자료를 토대로 식량 지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지난 6일 인도주의사무국의 직원 5명으로 구성된 자체 평가단을 북한에 보냈습니다. 이들은 북한의 병원과 고아원을 방문하거나 주민과 면담하고 북한내 유엔 단체나 비정부기구 관계자도 접촉하는 등 다양한 경로로 식량 실태를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자유아시아방송에 유엔의 세계식량계획(WFP)과 식량농업기구(FAO)의 공동 조사 보고서의 내용에 일부 의문점이 있어 유럽연합이 별도의 조사단을 보내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봄 세계식량계획(WFP)과 식량농업기구(FAO)가 공동으로 북한의 식량실태조사를 실시한데 이어, 미국과 캐나다의 비정부기구들도 북한에 들어가 식량 실태를 파악한 결과 북한의 식량 상황이 예년에 비해 심각하다면서 대북 식량 지원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이어 미국 정부도 5월 24일부터 6월 2일까지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를 단장으로 하는 식량평가단을 북한의 자강도와 함경도 지역에 파견해 식량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이 조사결과에 대한 공식보고서가 발표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언론은 19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정부가 “북한에 일부 식량난이 있는 지역이 있지만 전반적인 식량위기 상황은 아니라고 잠정적으로 결론지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대북 식량지원과 관련해 한국정부나 유럽연합과의 조율이 필요한 데다 최근 미국 하원이 대북 식량지원 금지를 추진하는 등 미국내에서 찬반 양론이 엇갈리고 있어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이 최종적으로 결정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