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특권층 자녀 ‘가짜 진단서’ 기승

앵커: 북한의 고위층 자녀들이 '가짜 입원'서류를 만들어 농촌전투에서 빠지는 현상이 드러나 빈축을 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른바 '부지깽이도 뛴다'는 모내기철을 맞아 북한이 총동원령을 내렸지만, 특권층 자녀들은 요리조리 빠져 사회적 비난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농촌전투에 동원됐다가 국경지방으로 나온 한 평양 대학생은 "요즘 고위간부 자녀들이 가짜 진단서를 내고 병원에 입원한다는 사실이 들통 나 조사가 벌어졌다"면서 "김만유 병원과 평양 제1병원 등 중앙병원에서 가짜 입원환자들이 무더기로 드러났다"고 1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평양시 보건당국이 주축이 되어 진행한 조사에서는 인민봉사총국 간부자녀들과 시 경무국, 1여단 고위간부 자녀들이 '가짜 진단서'를 만들어 바치고 집에서 놀고 있었다고 그는 지적했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학부모들이 "간부집 자녀들은 부모를 등에 업고 농촌동원에 빠지고 있다"고 신소를 제기하면서 불거졌다고 소식통은 언급했습니다.

신소한 학부모들은 자기 자녀들은 논밭에 나가 힘들게 일하고 있는데, 간부집 자녀들은 빈둥거리며 놀고 있는데 대해 불만이 많았다면서 평양시 보건당국이 각 병원을 조사한 결과 가짜 입원환자들이 곳곳에서 적발되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간부집 자녀들은 원래 아픈 곳이 없지만, 모내기철만 되면 1주일 전부터 아프다고 조퇴를 받다가 농촌전투 나갈 때는 '입원진단서'를 제출하고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또 농사철에 가짜 입원환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이 시기에 북한 당국이 의사들에게 약초 캐기를 시키기 때문에 산에 갈 수 없는 의사들은 약초 살 돈을 벌기 위해 서류 조작에 손을 댄다는 겁니다.

북한당국은 이러한 관행을 뿌리빼기 위해 각 병원들에 '가짜 입원환자'들을 절대 만들지 말라고 지시하고 있지만, 금전으로 얽힌 관행이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평양시 대학과 고급중학교들에서는 학교 컴퓨터실을 꾸린다는 명목으로 미화 200달러를 바친 학생들을 농촌전투에서 면제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평양시 특권층 자녀들이 진단서를 제출하고 모내기와 정치행사에 빠지는 현상은 과거에도 있었습니다.

지난해 평양에서 나온 또 다른 소식통은 "후방사업을 하겠다고 200달러를 바치면 한 달 동안 농촌동원에 빠질 수 있었고, 7.27 전승절 행사 때도 미화 150달러를 바치면 면제되었다"고 전했습니다.

대중을 선도해야 할 간부 자녀들이 금전으로 힘든 노동과 정치행사에서 빠지는 현상이 노골적으로 나타나면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