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북한의 식량사정이 나아질 것이라는 유엔의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내년 국제사회의 식량지원 규모가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과 식량농업기구(FAO)가 지난(11월) 25일 발표한 보고서는 올해 북한의 곡물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8.5% 증가할 것으로 추산하면서 굶주릴 위험에 처한 북한 주민의 수가 올해의 610만 명의 절반인 약 300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굶주릴 주민의 수가 크게 줄 것이라는 보고서 내용은 유엔의 내년 대북 지원 규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권태진 부원장이 전망했습니다.
권태진
: “유엔의 작황 보고서를 바탕으로 세계식량계획이 식량 지원의 규모를 결정합니다. 식량사정이 나아지는 만큼 북한에 대한 지원 규모는 올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식량계획은 지난 3월 굶주릴 북한 주민의 수가 약610만 명에 이른다는 작황 보고서를 바탕으로 한 달 뒤인 4월부터 약 350만 명에 식량을 제공하는 긴급식량지원사업을 발표했습니다.
권 부원장은 올해 초부터 계속된 북한의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전방위적인 식량지원 요청으로 국제사회의 대북지원 모금액과 지원 규모가 커졌지만, 식량사정이 나아질 것이라는 보고서의 영향으로 내년의 지원 규모는 올해보다 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때 대북 식량지원의 큰 손 역할을 하던 미국은 내년에도 식량지원에 한발 물러선 자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2000년 대 초반 미국 정부의 대북 식량지원을 담당했던 패트릭 크로닌 전 국제개발처 처장보는 대북 식량지원과 관련한 미국 의회의 토론이 해를 넘겨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패트릭 크로닌
: “핵개발과 관련한 북한의 태도 변화가 없고 식량분배를 감시하는 체계가 보장되지 않는 한 미국 의회는 식량 지원과 관련한 예산을 인정하지 않을 것입니다.”
크로닌 전 처장보는 북한이 강성대국을 선포할 시점인 2012년 4월 이후를 주목해야 한다면서 내년 5월부터 2013년 1월 사이 북한이 핵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 목적으로 무력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 같은 행동이 미국 의회나 정부의 대북 지원 결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