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당국이 6.28경제개선 조치의 하나로 현재의 대규모 협동농장을 소규모 분조 형태로 바꿀 것이라는 소식이 주민들 사이에 널리 퍼지면서 협동농장 간부들이 향후 자신들의 거취문제에 심한 불안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의 협동농장이 현재의 대규모 집단 농장에서 4~5가구를 한데 묶은 소규모 분조 형태로 바뀐다는 소식이 주민들 사이에 널리 알려지면서 농장원들과 농장간부들 사이에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최근 중국을 방문한 함경남도 주민 손 모 씨는 최근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요즘 농장 간부들은 거의 매일 회의를 열면서 불안해하고 있으며 간부가족들도 장래를 걱정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현재의 대규모 협동농장이 소규모 분조형태로 바뀔 경우 많은 간부자리가 없어질 것으로 예상돼 향후거취가 불안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손 씨는 “조선의 협동 농장은 농장원들보다 농장에 붙어서 먹고사는 간부들이 더 많은 실정”이라며 “내가 생각해도 협동농장 운영방식이 바뀌면 간부들 중 상당수는 불필요한 사람들”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평소에 농장원들 위에 군림하던 간부들이 예전처럼 거드름을 피우지 않고 불안해하는 기색이 역력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손 씨는 또 “이에 반해 일반 농장원들은 농장개선조치를 할 거면 빨리 할 일이지 왜 이렇게 뜸만 들이느냐고 불평하면서도 기대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남도 출신 탈북자 장 모 씨는 “한 개의 협동농장에는 약 100가구, 200여명의 농장원이 직접 생산 활동에 참여하는데 반해 당에서 파견한 요원들과 관리위원장을 비롯한 비생산직 요원이 비슷한 숫자를 차지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장 씨는 “만약 현재의 협동농장을 소규모 분조 형태로 바꾼다면 이들 중 상당수는 정리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장씨는 “협동농장 간부들이 자신들의 거취를 불안해 한다는 얘기는 충분히 공감이 가는 말”이라며 “북한당국이 이들을 어떻게 정리해야 좋을지 몰라 협동농장 개선 조치를 미적거리고 있는지도 모르겠다”고 풀이했습니다.
북한에 살다가 중국에 정착한 화교 조 모 씨도 “소규모 분조형태의 협동 농장 개선조치는 잘만하면 현재의 대규모 협동농장 체제보다 생산능률을 높이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현재 북한의 협동농장에는 초급당 비서를 비롯해 사로청위원장, 농근맹(농업 근로자 연맹)위원장, 기사장, 여맹위원장 등 당료들과 그 산하 실무요원, 관리위원장을 비롯한 행정요원, 분조장등이 상주하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생산관리 간부들, 군 당위원회와 군 인민위원회에서 직간접적으로 농장관리에 참여하는 조직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