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전국의 모든 기관기업소들에 농촌지원을 지시했다는 소식입니다. 협동농장에 대한 노력보충을 강조하고 있어 제대군인들이 대거 협동농장에 배치될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김정은 정권이 7차당대회를 마치자마자 예전보다 늦게 농촌지원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가동을 하지 못하고 있는 지방공장 노동자들은 각자의 식량을 가지고 빠른 시일 내에 지정된 협동농장에 지원을 나가야 한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12일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김정은이 집권한 후부터 해마다 공장 기업소 근로자들은 빠르면 5월 5일, 늦어도 5월 9일까지 협동농장들에 지원을 나가야 했다”며 “그러나 올해는 7차당대회로 하여 농촌지원 시기가 다소 늦어졌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중앙이 농촌지원과 관련한 지시에서 ‘빠른 시일 내’라고만 했을 뿐 구체적인 날짜는 지정하지 않았다”며 “구체적인 농촌지원 날짜는 김정은 노동당위원장 추대 지방 경축행사가 끝난 후에 나올 것 같다”고 예상했습니다.
소식통은 농민에게 지원노력이 요구되는 시기는 5월15일 이후인 데도 당국이 지난해까지 현실을 무시한 채 지원을 너무 일찍 들이밀어 농민과 지원 근로자 사이에 갈등이 야기됐었는데 올해는 당대회 때문에 농촌지원이 늦어져 오히려 갈등 요소가 완화되긴 했다면서도, 정작 지원이 필요한 것은 봄철이 아니라 가을이라고 말했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농업관련 소식통은 11일 “가을에는 일손이 많이 필요하지만 봄철에는 협동농장에서 별로 지원노력이 필요하지 않다”며 “밭은 소가 갈고 강냉이 파종은 농민들이 하면 되는데 왜 지원노력부터 들이미는지 모르겠다”고 봄철 농촌지원 자체를 비판했습니다.
소식통은 “농촌지원자들은 그저 시간이나 때울 뿐 농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그런데도 중앙에서는 무작정 지원노력을 들이 밀고 이를 핑계로 가을철 농민들의 현물분배 식량에서 지원노력의 몫으로 상당량을 빼앗아 간다”고 불만을 터뜨렸습니다.
한편 북한은 ‘농업전선의 대를 꿋꿋이 이어가자’는 최근의 선전선동자료를 통해 농촌의 주인이 돼야할 젊은 세대가 턱없이 부족하다며 더 많은 젊은이들을 농촌의 주인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선전을 반복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농촌의 주인이 될 젊은 세대가 어디에 따로 있겠느냐”면서 “제대를 앞둔 군인들을 농촌에 보내는 길 밖에 없기 때문에 올해 제대를 앞둔 군인들은 협동농장에 ‘무리배치’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에 젖어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