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당국이 6.28 경제개선 조치의 일환인 협동농장 분조관리제를 금년부터 본격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최근 중국에 나온 함경남도 주민은 “올해부터 협동농장의 땅을 각 분조별로 모두 나누어 주었다”고 자유아시아 방송(RFA)에 밝혔습니다.
평안남도 남포의 한 주민도 이 같은 사실을 증언하면서 “이로 인해 주민들 중에는 앞으로는 조선에서도 쌀이 남아돌게 될 것이라며 기대에 들떠있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분조관리제를 실시하면 식량생산이 대폭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을 바탕으로 한 긍정적인 반응이 있는 반면 ‘조선에서 뭐하나 제대로 되는 일이 있었느냐’는 당국에 대한 불신감에서 비롯된 비아냥도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당국이 협동농장 분조관리제의 본격 시행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지만, 기존의 간부들을 중심으로 한 농장관리 체계에는 아무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 주민소식통들은 “작년에 분조관리제 얘기가 나오면서 ‘농장 관리위원회’나 ‘농촌 경영위원회’ 간부들은 분조관리제가 실시되면 자신들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을 우려해 이를 극력 반대하는 분위기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들은 이어서 “당국에서도 농장간부들에 대해서는 손을 못 대고 이들의 자리를 보장해주는 방향으로 분조관리제를 손질한 것으로 알고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농장의 각급 간부들이 그대로 자리를 지키게 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어떤 변동도 없다고 소식통들은 강조했습니다.
주민소식통들은 또 “분조관리제를 실시한다 해도 협동농장에 군림하는 간부들이 줄어들지 않는 한 전체 수확량의 30%가 분조원들에게 제대로 돌아가겠는가 하는 우려가 여전히 남아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북한의 노동신문은 지난 18일 ‘분조관리제를 더욱 강화하자’는 제하의 기사에서 “분조장들은 분조의 어머니와 같다”면서 분조장들은 포전담당제를 분조의 구체적 실정에 맞게 실시하고 매일 노력일 평가사업을 정확히 진행하며 농업근로자들에게 일한 것만큼, 번 것만큼 분배 몫이 정확히 차례지도록 하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분조관리제 전면실시와 관련 중국의 대북 소식통들은 “분조별로 땅을 나누어주고 경쟁을 시켜 근로의욕을 끌어올리려는 시도로 보이지만 농민들의 자율성을 보장하지 않는 한 지금까지의 관리체계와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은 “어찌 됐든 가을 수확 후 농민들의 몫이 제대로 차례지느냐에 따라 이 제도의 성공 여부가 판가름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