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남한의 대북 민간단체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가 북한에 비료 2만 톤가량을 보내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남한의 통일부가 "민화협에서 대북 비료 지원을 정식으로 신청을 해오면 구체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혀 향후 승인 여부가 주목됩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올해 농업 증산에 힘을 기울이면서 연초부터 적극적으로 비료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북한이 올해 1월 중국에서 비료 3만 5천여 톤을 수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비료는 여전히 부족합니다. 이 때문에 북한은 올해 초 남한의 민간단체 등을 통해 비료 지원을 요구해왔습니다.
이런 가운데 남한의 민간단체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가 지난 6일 대북 비료지원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홍사덕 대표상임의장은 민화협 대의원대회에서 ‘북한에 비료 100만 포대 보내기 국민운동’을 제안해 대의원대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비료 100만 포대는 2만 톤에 해당합니다.
홍 의장은 대의원대회에서 재원 마련을 위한 방안으로 1구좌 비료 1포대의 백만구좌 만들기 국민운동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민화협은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국민운동의 실천계획을 만들어 모금 운동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는 7일 오전 정례회견에서 민화협의 대북 비료지원 계획은 정부와 사전에 협의가 이뤄진 내용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민화협 측에서 정식으로 지원신청을 해온다면 구체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설명해 민간단체의 비료지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 민화협에서 추진하겠다고 하는 차원은 지금 정부에서 순수한 인도적 지원하고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만, 구체적으로 민화협에서 계획을 구체화해서 정부에 신청해 오면 구체적으로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어 정부 차원에서 비료 지원 계획은 없느냐는 질문엔 “당국 차원의 지원은 5·24조치 이후로 중단됐다”며 “현재로서는 검토하는 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남한 정부의 대북 비료 지원은 1990년대 말부터 시작해 지난 2007년까지 매년 30만 톤 규모를 정부 차원에서 지원했으나 이명박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