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고성능 어군탐지기 수입추진

북한이 해군 부대에 실전 배치 중인 함선 공격용 신형 함대함 미사일 발사 훈련 모습.
북한이 해군 부대에 실전 배치 중인 함선 공격용 신형 함대함 미사일 발사 훈련 모습. (사진-연합뉴스 제공)

0:00 / 0:00

앵커 : 북한의 군부대가 운영하는 무역회사가 중국으로 부터 고성능 어군 탐지기를 수입하려 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조선 인민무력성 소속의 한 무역회사 주재원이 어군 탐지기를 들여가기 위해 이곳저곳 수소문 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군부대 소속의 무역회사 주재원이 어선에나 필요한 어군 탐지기를 구매하려는 것은 아주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 주재원은 값이 비싸더라도 성능이 좋은 일제 어군 탐지장비를 요구하고 있어 의혹을 사고 있다”면서 “구매하려는 수량은 우선 세트로 10여 개 정도를 수입하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어군 탐지기는 어선에 장착하면 초음파를 발산하여 고기 떼를 찾아내는 장비이지만 군함에 장착하면 수중을 관측하는 소나(sonar) 장비로의 전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군용으로 전환이 가능한 장비를 군부대 소속의 무역회사가 수입을 추진하기 때문에 의혹을 사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 변경도시의 한 대북 무역업자는 “이 같은 민감한 전자장비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해 거래는 가능하지만 조선으로의 반출은 금지된 품목으로 알고 있다”며 “밀수꾼을 동원하지 않고는 대조선 수출은 불가능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지금까지 중국 당국은 대북제재에서 금지 품목으로 정한 물품에 대해서는 수출을 불허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면서 “만약 이런 물건을 조선으로 반출하려다 적발되면 벌금 정도가 아니라 형사처벌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조선의 어선들은 일부 원양어선에나 어군 탐지기가 장착되고 대부분의 어선들 에는 어군 탐지기가 없다”면서 “조선의 무역회사가 들여가려는 고성능 어군 탐지기는 어선에 달기 위한 것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