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불법어업방지’ 전문가 회의

0:00 / 0:00

앵커 : 북한과 러시아가 지난 해 체결한 불법어업방지 협정의 이행을 위한 전문가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협정 체결 뒤에도 북한 어민이 러시아 해역에서 조업중 조난당하는 등 불법어업이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마련됐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과 러시아가 지난 23, 24일 이틀 동안 평양에서 불법 어업을 막기 위한 양국 간 해양 수산 전문가 회의를 개최했다고 국영 러시아의 소리 방송이 최근 보도했습니다.

방송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 해양수산기관 대표단이 참석한 이번 회의에서 양국 전문가들은 지난해 체결된 불법어업방지 협정의 이행 문제를 집중 논의했습니다.

참석자들은 양국 간 협정 중 우선 실천 가능한 부분에 대해 조언했고 앞으로 합의 내용을 구현하기 위한 작업을 계속할 예정이라고 방송은 덧붙였습니다.

앞서 북한과 러시아는 지난해 1월30일 모스크바에서 ‘해양 생물 자원의 불법, 미신고, 비규제 어업 방지 협정’을 체결했습니다.

박태원 당시 북한 수산상과 안드레이 크라이니 러시아 어업청장이 서명한 협정에 따라 양국은 태평양 지역에서 불법 조업에 대항해 상호 협력하기로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협정 체결 뒤 지난 해 11월 말 러시아 극동 연해주 인근 해역에서 허가 없이 조업중이던 북한 어민 6명이 조난당하는 등 불법 조업이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습니다.

북러 양국 간 불법어업방지 협정이 체결되긴 했지만 여전히 이행에 속도가 붙지 않고 있음을 방증한다는 지적입니다.

실제 이번 회의 소식을 전한 러시아의 소리 방송은 불법 어업 근절 문제 외에 양국 간 어업 분야 협력 전반에 관한 논의 여부는 일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지난해 협정 체결 당시 양국 어업 현황에 관한 정보 교환과 어업 분야 합작 기업 설립 문제 등도 함께 논의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북러 양국 사이에는 최근 들어 무역,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한 협력 확대 방안이 활발히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됩니다.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최창용 교수는 북한이 러시아와 경협 강화를 통해 중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최창용 교수: 북한 입장에서는 가능하면 (경협을) 다양화시키고 싶은 거죠. 또 러시아도 부동항 확보 등 북한에 대해 상당한 이해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러시아 측은 이번 양국 해양 수산 전문가 모임을 불법어업방지 협정 이행을 위한 제1차 회의라고 밝혀 앞으로 관련 회의가 추가로 이어질 것임을 시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