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중국의 개별적 어선들을 상대로 어업권을 팔고 있으나 중국어민들의 반응은 시큰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턱없이 비싼 어업권을 살 바엔 차라리 북한 해역에서 불법어로를 하는 것이 낫기 때문이라고 소식통들은 설명했습니다.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당국이 중국 현지에서 어민들을 상대로 북한 해역에서의 어업권을 팔려했지만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한 채 철수했다고 복수의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어업권 값도 비싸지만 여태껏 알려지지 않은 회사 명의의 어업권이어서 중국 어민들의 의심만 샀다고 소식통들은 언급했습니다.
6일 중국에 파견된 북한의 한 소식통은 “중앙의 지시로 지난 5월 한 달 동안 국가안전보위성 요원 5명과 어업권을 팔기 위해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와 도문시 일대를 훑으며 뛰었지만 고작 17장밖에 팔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5월 초에 중국으로 파견된 국가안전보위성 요원들은 ‘조선자원관리총국’ 명의로 발부된 동해 어업권을 1천장이나 가지고 나왔다”며 “하지만 어업권 1장의 값이 중국 인민폐 1만 위안이나 되어 현지 어민들은 코웃음만 쳤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또 “그나마 팔린 17장도 낙지(오징어)철에 대비해 지금 한창 어선을 건조 중에 있는 선주 한명이 한꺼번에 사들인 것”이라며 “현지 어부들은 어업권의 값이 너무 비싼데다 조선자원관리총국이라는 회사를 믿지 못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조선자원관리총국’이라는 명칭은 자신도 처음 들어 본다며 “국가안전보위성 요원들에게 ‘조선자원관리총국’이 어디에 위치해 있고 무슨 일을 하는 기관인가를 물어 보았는데 그들도 잘 모르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8일 중국 요녕성 단둥시의 한 소식통은 “지난 5월 초부터 ‘조선자원관리총국’ 간부라는 북한 사람 3명이 단둥에 있는 선주들을 찾아다니며 조선(북한)서해 어업권을 한 장에 인민폐 1만원씩 받고 팔려고 했던 사실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조선자원관리총국’이 무슨 회사인지 설명을 못했다”며 “서해는 물고기가 많이 잡히지 않아 어업권의 값을 낮춰야 한다는 선주들의 요구도 들어주지 못해 협잡꾼 취급을 받다가 돌아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이어서 소식통은 “북한은 기름(연료)이 없어 해안 경비정이 제대로 뛰지 못하기 때문에 중국어선의 불법 어로활동을 제대로 단속하지 못한다”며 “간혹 단속이 된다고 해도 해안경비대에 중국 인민폐 몇 백 원만 쥐어주면 무사히 풀려나는데 어업권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고 소식통은 반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