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최근들어 일본 경제수역 부근에서 조업을 하는 북한 어선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일본에서 이혜원기자가 전합니다.
일본 수산청과 해상 보안청이 올 1월부터 현재까지 약 400척의 북한 어선이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조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아사히 신문이 27일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일본 정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 북한어선이 조업하는 지역은 일본 노도반도 북서쪽 약 370킬로미터 부근으로 일본과 북한의 경제수역의 경계지역이며, 오징어 잡이가 성황을 이루는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북한 어선의 조업이 집중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일본 해상보안청에 따르면, 일본의 경제수역 근처에서 조업하는 북한 어선의 수는 2011년에는 약 15척이었던 것에 비해, 2012년에는 80척, 2013년에는 110척, 그리고 올해에 들어서는 400여척에 이르며, 이중 90퍼센트가 일본 경제수역 안에 침입해 조업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들 중 대부분은 일본 수산청 해안 감시선의 퇴거 지시에 따르고 있지만, 그 중 일부 어선은 북한 경제수역이라고 주장하며 조업을 강행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습니다.
또한, 올해 들어 일본 수산청 소속의 해안 감시선과 정찰기가 확인한 북한 어선의 선체에서는 작년까지는 볼 수 없었던 번호가 쓰여진 배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며, 이것은 이전 개인이나 기업소속이었던 어선이 군 소속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 같다고 신문은 분석했습니다.
이같은 분석은 지난 8월, 이시카와현 부근의 일본해에서 조업을 하다 선체 고장으로 표류했던 북한어선의 선장과 승무원 4명의 증언을 근거로 하고 있는데, 당시 표류어선의 선장은 어선이 북한 인민군 산하 국경경비총국에 소속되어 있으며, 북한의 청률이나 원산지역에서 출항한 배라고 밝혔다고 합니다.
이 신문은 일본정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빌어, 올 해 들어 일본 경제수역 부근에서 조업하는 북한어선의 수가 갑작스럽게 늘어난 것은 지난해 12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수산물 수출과 관련된 사업권을 장악하고 있던 장성택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을 숙청한 후, 2014년 1월 신년인사에서 북한의 수산업 장려를 위해 국가적 대책을 수립하고 어획량을 늘릴 것을 지시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며, 어획량의 대부분은 중국으로 수출해 외화벌이에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