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에 진출한 외국인 투자 기업들에게 북한당국이 수해복구 지원금을 내도록 무언의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 북부지방의 수해복구를 위해 북한에 진출한 외국 기업들도 힘을 보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외국 기업들의 수해복구 지원은 겉으로 보기에는 자발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실제는 북한당국의 강요가 숨겨져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라선에서 건축자재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는 한 중국인 사업가는 최근 이 같은 소식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하며 “라선에서 사업을 하는 중국인들 치고 얼마간이라도 수해 복구 기부금을 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외국 기업이라 해도 북한에서 사업하면서 나 몰라라 할 수는 없는 일이고 알아서 성의껏 내는 것은 이상할 게 없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북한 당국이 뒤에서 수해복구 지원금을 강요하고 있는 냄새가 짙게 풍겨 좋은 기분으로 내야 할 기부금이 불쾌한 부담금으로 바뀌어 버렸다는 겁니다.
북측 대방회사 대표가 찾아와서는 “자기 체면 좀 살려달라”며 기부금을 종용하면서 “이번에 어느 어느 회사에선 얼마를 냈다”는 등의 말을 일부러 흘리고 다닌다는 것입니다. 특히 중국 등 외국기업들에게는 상당히 큰 액수의 기부금을 은근히 강요한다고 소식통은 지적했습니다.
중국의 또 다른 대북 소식통은 “이달 중순에 라선에 들어갈 예정인 한 재미교포가 ‘라선에 있는 중국 기업에선 수해기부금을 얼마나 냈는지 알아봐 달라’고 부탁을 해 왔다”면서 “이는 외국 기업들이 자진해서 수해기금을 낸다는 얘기를 믿을 수 없게 하는 증언이고 어차피 수해지원금을 피할 수 없다면 얼마를 내야 할지 눈치를 살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외국 기업들의 수해기부금 부담은 북한 내 다른 지역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신의주에 봉제공장을 차려놓았다는 한 중국인 사업가는 “이번 함경북도 수해 복구를 위한 기부금을 당연히 냈다”면서 “기부금을 너무 인색하게 내면 대방이 곤란해지고 많이 내자니 회사 형편도 살펴야 하기에 돈을 내면서도 오히려 북한 당국의 눈치를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에 나온 평양 주민소식통은 “외국 기업인들이 기부금을 내는 것은 이번처럼 수해가 났을 때뿐만이 아니다”라면서 “태양절 등 조국(북한)의 각종 명절에도 내야 하고 북한 거주 화교들도 수시로 세외 부담금을 바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