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 내년 식량 50만톤 부족

0:00 / 0:00

앵커 : 유엔은 올해 북한의 곡물 생산량이 지난해에 비해 약 10% 증가했지만,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50만 이상 톤 이상 부족하다고 밝혔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의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은 북한의 2012년 곡물 수확이 2년 연속 증가했지만, 만성적인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진단했습니다.

유엔이 12일 공개한 ‘2012 북한 작황보고서’를 보면, 북한의 곡물 생산량은 도정하기 전을 기준으로 580만 톤으로 지난해에 비해 약 10% 늘었습니다.

도정한 알곡 기준으로는 약 490만 톤으로 북한 주민의 굶주림을 해소하기에는 최소한 50만 톤이 부족하다고 유엔은 추산했습니다.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식량농업기구의 키산 군잘 분석관은 극심한 가뭄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됐던 옥수수 작황이 나쁘지 않았고 비료와 농자재 확보도 증가해 곡물 수확이 늘었다고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키산 군잘 분석관 : 홍수의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10만 헥타르를 제외하면 옥수수 농사가 나쁘지 않았고, 비료와 비닐막 등 농자재 확보도 예전보다 원활했던 점이 수확량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유엔의 2012년 북한 작황 보고서는 식량농업기구와 세계식량계획의 전문가들이 지난 9월 24일부터 10월 8일까지 북한의 9개도 27개 시.군을 방문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됐습니다.

유엔은 쌀과 옥수수의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10%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쌀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1% 많은 268만 톤으로 그리고 옥수수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0% 증가한 204만 톤으로 전망됩니다.

전체 곡물의 82%를 차지하는 쌀과 옥수수의 생산량은 늘겠지만 콩 생산량이 약 30% 줄어드는 것을 비롯해 올해 겨울에 심을 감자, 밀, 보리의 작황도 지난해보다 부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봄의 극심한 가뭄으로 콩을 경작할 땅이 크게 줄었고, 겨울 곡물은 올해 생산량이 적어서 종자를 확보하기 어려운 형편이라고 유엔 보고서는 설명했습니다.

식량농업기구의 군잘 분석관은 지난 20년간 계속된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 부족 상황이 내년에도 여전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키산 군잘 분석관: 2천400만 북한 주민이 최소한의 일상생활을 하기에 필요한 곡물에 약 50만 톤이 부족합니다. 일년 동안 약 540만 톤이 필요한데 생산량은 490만톤에 그치기 때문입니다.

군잘 분석관은 북한의 내년도 식량 부족분 중 북한 당국이 수입으로 충당할 30만 톤을 제외한 20만 톤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