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4 조치 풀려야 방북· 식량지원 허용”

0:00 / 0:00

MC:

한국의 민간단체 대북지원이 재개된 가운데 한국 정부는 앞으로도 지원의 시급성과 분배투명성을 따져 인도적 지원만큼은 계속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북한 방문과 식량 지원은 여전히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통일부 발표>


“어제 유진벨재단의 인도지원물자 반출·승인에 이어서 오늘 우리 부는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인도지원물자 반출을 승인했습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의 대북지원 물품은 3만 달러 상당의 빵, 콩우유가루, 사탕 등입니다.

함경북도 온성군에 있는 50여 곳의 유치원에 지원할 계획입니다.

지원 물품은 오는 8일쯤에 북한으로 들어갑니다.

현재까지 정부에 인도적 지원을 신청한 곳은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외에도 6개 단체입니다.

통일부 천해성 대변인입니다.


천해성:

정부는 앞으로도 영·유아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인도적 차원의 대북지원은 사안별로, 개별적으로 검토해서 추진해 나갈 생각입니다.

이들 단체는 그러나 물자 지원만이 아니라 북한 방문도 허용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물자가 제대로 전달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방북이 꼭 필요하다는 겁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강영식 사무총장입니다.


강영식:

정부는 대북지원의 모니터링을 강조하는데, 북한 현지 방문을 금지하면서 투명성 확보를 요구하는 것은 모순이죠. 최소한 정부에서 승인 받은 사업에 한에선 모니터링을 위한 북한 방문도 같이 승인돼야 하지 않겠느냐...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5.24 대북제재 조치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성공단을 제외한 북한 방문은 아직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천해성:

현재 남북 간에 인적교류나 교역이라는 것은 잘 아시다시피 5.24조치 이후에 원칙적으로 중단이 됐습니다. 통상적인 사회문화교류와 그를 위한 접촉은 현재 우리가 구체적으로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통일부는 또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에 대한 해결 없이 군사용으로 전용될 수 있는 대북 식량지원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의 이 같은 방침은 국민들의 정서와도 일치하고 있습니다.

최근 설문 조사에서 한국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은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한의 사과가 없는 상태에서 정부가 대북 식량지원을 하는 것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