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 100만 톤 살 돈 허공에 날려"

5일 북한이 발사한 장거리 로켓의 개발 비용이 3억 달러로 알려진 가운데, 얼마 전 북한이 수천만 달러에 달하는 김정일 위원장의 전용 호화요트를 구입하려다 대금을 압수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0:00 / 0:00

이처럼 북한에서는 굶주리는 주민들의 삶과는 거리가 먼 일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정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과 국제사회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지난 5일 발사된 북한의 장거리 로켓에 들어가는 비용은 3억 달러로 추정됐습니다.

북한의 미사일이 발사된 후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이 그동안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는 데 모두 26억 달러를 쓴 것으로 추산된다"면서 "이번 발사에 들어간 돈은 3억 달러 정도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도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직후에 소집된 긴급회의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인공위성 하나를 발사하려면 3억 달러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지금 북한이 얼마나 경제적으로 어렵고 주민들 식량문제도 해결하지 못하면서 그 큰 돈을 들여서 지금 우주 공간에다 그 1억 달러를 날렸습니다.”

인건비와 연구실 임대료 등 부대비용이 들지 않는 북한식으로 계산해도 장거리 로켓 1기를 제작하는 데 약 2,500만 달러가량 들며, 연료비용을 포함하면 최소 3,000만 달러 이상 든다는 게 정보기관 당국자의 설명입니다.

김정일 위원장도 지난 2000년 남한 언론사 사장단이 방북했을 때 ‘대포동 1호’ 로켓 비용에 대해 2~3억 달러가 들었다고 시인한 바 있습니다.

로켓 개발에 든 3억 달러로 곡물을 산다면 국제시장에서 100만 톤을 살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추산하고 있습니다.

<b> 인공위성 하나를 발사하려면 3억 달러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지금 북한이 얼마나 경제적으로 어렵고 주민들 식량문제도 해결하지 못하면서 그 큰 돈을 들여서 지금 우주 공간에다 그 1억 달러를 날렸습니다.</b> <br/>

이 정도 양이라면 북한이 매년 모자라는 식량을 해결하고도 남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통일부는 작년 북한의 곡물 생산량을 431만 톤으로 추정하고 북한 주민이 1년 동안 먹자면 여전히 117만 톤이 모자란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지 않았다면 매년 모자라는 식량을 마련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함경북도 지방의 대북 소식통들은 현재 직장에 출근하는 노동자들이 보름치 식량 배급을 받지만, 일반 여성들과 늙은이, 아이들은 식량을 받지 못한다고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당국이 김정일 위원장의 가족용 호화 요트를 유럽에서 구입하려다가 계약금을 압수당했다고 일본의 지지(時事)통신이 5일 보도했습니다.

유럽 금융당국은 유럽 주재 북한 당국자가 출처 불명의 돈으로 이탈리아산 호화 요트 2척을 구입하려 한다는 통보를 받고 유엔 대북결의 1718호에 위반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압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이탈리아에서 구입하려던 호화 요트는 모두 2척으로, 가격은 약 2,000만 달러(약 27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