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이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 재개를 놓고 장고를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오는 8월 의회의 여름 휴회 기간 동안 제한적인 대북 식량지원을 발표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와 국제개발처는 대북식량지원 재개와 관련해 의회의 반응이 예상보다 훨씬 부정적인 데 매우 당황해 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고 미국 의회 소식통이 1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 의회 소식통은 이같은 미국 의회의 대북식량지원에 대한 부정적 기류에다 한국 측의 완강한 반대, 그리고 미국의 분배 감시 강화 요구에 소극적인 북한의 태도 등을 대북식량지원 재개와 관련한 ‘3대 걸림돌’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특히 최근 한 민간단체가 주관한 북한 관련 행사에 참석한 존 브라우스 미국 국제개발처 부국장이 한국 언론이 최근 보도한 ‘북한 일부 지역에 대한 소규모 식량지원 재개’ 방침을 부정하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당시 모임에서 브라우스 부국장은 자신이 진두 지휘한 미국의 대북식량지원 평가단의 북한 현지 실사 결과를 토대로, 미국이 이같은 방침을 내부적으로 정했다는 보도와 관련해 이를 부인하지 않고 정보 누설에 관해서만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는 겁니다.
미국 국무부가 실무선에서는 대북식량지원이 필요하다는 잠정 결론에 이르렀지만 이를 공식 결정하지 못하고 시간을 끌고 있다는 분석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편 국무부가 오는 8월께 의회가 여름 휴회에 들어간 사이 대북식량지원 재개를 전격 발표할 가능성이 있다고 이 의회 소식통은 예상했습니다.
의회가 휴회중이라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데다 여름 휴회 이후에는 막바지 예산안 심의로 민주, 공화 양당이 서로 대립각을 세울 수밖에 없어 대북식량지원 문제가 정치 쟁점화할 가능성이 높아 9월 전 이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는 겁니다.
여기다 9월부터는 민주, 공화 양당이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본격적인 예비 선거 준비에 돌입하는 점도 이같은 분석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반면, 미국의 대북식량지원 재개 결정이 빨라야 가을께나 돼야 나올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미국이 요구하는 수준의 강화된 분배 감시를 북한이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데다 2009년 북한이 합의를 어기고 임의 분배한 식량 2만2천 톤 문제도 아직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어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