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유럽연합이 대북 식량지원에 나서기로 결정한 가운데 미국 국무부는 5일 미국 자체 판단으로 대북 식량지원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소식을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의 빅토리아 눌런드 대변인은 이날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미국은 아직 대북식량지원 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눌런드 대변인은 미국은 유럽연합의 조치에 대해 논의를 해왔고 이를 주시하고 있다면서 유럽연합의 대북식량지원 결정을 이해한다고 말했습니다.
눌런드 대변인은 유럽연합의 이번 결정이 미국의 대북식량지원에 미칠 영향과 관련해 미국이 관련 문제를 유럽연합 측과 긴밀히 협의하곤 있지만 대북식량지원 여부는 결정할 때가 되면 미국 스스로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Nuland
) Obviously, we are in close touch with the EU on this issue...but the US will make it's own decision when we get to that stage.
이와 관련해 최근 국무부 관리 2명과 접촉했다는 워싱턴의 한 전문가도 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이번 유럽연합의 결정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 전문가는 미국이 파악하고 있는 북한의 식량난이 예년에 비해 크게 나쁘지 않고 분배감시 문제와 관련해서도 북한 측과 이견이 있어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 결정이 조만간 나오기 힘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한국 정부도 5일 여전히 대북 식량지원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외교통상부의 조병제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유럽연합이 4일 발표한 대북 식량지원은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목적으로 이해하며 이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 철저한 분배감시와 전용방지 장치를 확보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했습니다.
조 대변인은 또 “한국 정부는 대북 식량문제 전반에 관해 유럽연합과 미국 등 공여국은 물론 국제기구들과 계속 협의하고 있다”면서 “유럽연합의 이번 지원문제도 사전 협의했고 사전에 통보도 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