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유엔 대북 금융제재가 강화되면서 중국에서 김씨 일가의 비자금을 관리하는 관련자들의 움직임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외국에 주재하는 북한 금융관련 주재원들은 김씨 일가의 비자금은 물론, 북한 고위층들의 비자금도 별도로 관리해주고 장기근무 혜택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보도에 정영기자입니다.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강화된 유엔 대북 금융제재 조치로 북한의 해외 비자금 관련자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졌습니다.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현재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비자금을 관리해주는 중국 내 금융관련자들이 북한 고위층들이 맡겨놓은 수백만 달러 규모의 비자금도 따로 관리하고 있다"면서 "최근 강화된 중국의 대북 금융 제재망을 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 고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24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북한의 외환거래 사정에 밝은 이 소식통은 최근 한국 언론에 공개된 중국 주해 주재 무역대표부 김귀철과 단동주재 무역대표부 이일수를 지목하면서, "북한 내에서도 외환 전문일꾼으로 정평이 나있는 이들은 고위층의 비자금을 불려주는 방법으로 신임을 얻어 장기 체류 특혜를 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얼마 전 한국의 중앙일보는 중국 주해 주재 북한 무역대표부 김귀철 대표와 단동 주재 무역대표부 이일수 등이 중국 현지에서 돈세탁과 환치기 등 수법으로 환거래 실적을 올려 신임을 얻은 뒤 해외에서 장기체류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일수, 김귀철 등에게 해외 비자금을 맡긴 북한의 고위층으로는 익명의 노동당 행정부의 고위간부와 현철해 인민무력부 후방총국장 등이 포함되어 있다면서 해외에 비자금을 맡긴 인물들은 대부분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절에 특혜를 받은 고위층이라고 이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해 평양출신의 한 고위층 탈북자는 "김정일은 2000년 중반 최측근이었던 현철해 북한군 대장에게 개별적인 회사를 내오도록 즉석에서 허가한 적도 있다"면서 "이 고위층들은 '김정일의 방침'을 명목으로 외화벌이 회사를 내오고 외화 일부를 외국은행에 예치시켜 놓았다"고 말했습니다.
이 탈북 인사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고모인 김경희 당비서도 은하무역총회사를 거머쥐고 개별적인 간부들에게 외화벌이 권한을 부여했다"면서 김경희 라인으로 분류되는 개별적인 간부들이 맡긴 외화도 중국 현지에 상당수 있음을 암시했습니다.
이 북한 고위층들은 제각기 자신들의 부서관리를 이유로 '혁명자금'을 운운하면서 외국에 달러를 예치하고 있지만, 사실은 자신들의 용도에 맞게 외화를 소비한다면서 개인 비자금 성격이 짙다고 그는 암시했습니다.
이러한 고위층의 비자금을 관리해주는 대가로 김귀철과 이일수 등 비자금 관리자들은 장기근속을 약속받고, 돈세탁과 주식투자, 환치기 수법으로 외화를 불려 고위층들에게 상납하고 있다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중국 4대은행인 중국은행과 건설은행, 농업은행 등이 북한 조선무역은행과 거래를 중단하는 등 실질적인 조치에 나서자 비자금 관리자들도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최근 이들은 개별 간부들의 비자금으로 주식과 증권 등에 투자했다가 수십만 달러를 손해 보았지만, 해당 간부들로부터 처벌이 두려워 전전긍긍하다가 갑자기 손실금을 채워 넣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그 돈의 출처에 대해서는 '혁명자금'일 가능성이 높다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혁명자금, 당자금이란 김정은, 김경희 등 김 씨 일가의 비자금을 의미하기 때문에 비자금 관리자들이 실제로 당자금에 손을 댔다면 '역적 죄'에 버금가는 것으로, "개별적 간부들의 편의를 제공하다가 결국 김 씨 일가의 통치자금에 손을 댔다면 파면이 예상된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