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 NGO “북, 인도주의 감시대상”

0:00 / 0:00

앵커 : 벨기에, 즉 벨지크의 비정부 기구는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한 긴장감에 더해 최근 북한에 닥친 폭우로 인도주의 상황이 더욱 심각해 졌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이 기구는 북한을 '특별 감시 대상국'으로 분류했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전세계 국가들의 인도주의 상황과 필요를 평가하는 벨기에 비정부기구 ACAPS(The Assessment Capacities Project)는 최근 북한을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에 대해 특별 모니터링, 즉 감시가 필요한 국가 (Watch List Country)로 분류했습니다.

이는 특히 지난 6개월간 인도주의적 지원 요청이 들어온 114개국 중 37개국의 인도주의 상황을 평가한 결과로 ‘감시 대상국’으로 분류된 국가는 북한과 에트리아 단 두 나라 뿐입니다.

ACAPS의 레오니 택스 정보 분석관은 1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감시 대상국’은 인도주의적 위기 정도가 높아, 다른 인도주의 지원 요청국들 보다 우선적으로 감시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평가된 나라를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아직 북한을 둘러싼 정치적 상황이 매끄럽지 못한 상태라고 전했습니다.

북한이 지난 6월 북핵 등 안보와 관련한 고위급 회담을 제안했지만 미국은 선 핵폐기를 주장해 계속 긴장이 지속되는 상태라는 설명입니다.

이러한 정치적 긴장 상태에 더해 지난 7월 북한에 내린 폭우로 인해 평안남북도를 중심으로 발생한 홍수 피해도 북한의 인도주의 상황을 더욱 절실하게 만들었다고 전했습니다.

유엔의 보고에 따르면 농경지들 1만 헥타르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면서 “평안도 박천 군에서는 40% 이상의 농경지가 피해를 입어 벼농사의 80% 이상이 영향을 입었다”고 이 기구는 전했습니다.

따라서 현재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고 전했습니다. 6월 초에 세계식량계획이 7월부터 향후 2년 동안 산모, 어린이 등 을 중심으로 한 북한 주민 240만명을 대상으로 인도주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택스 정보 분석관은 또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해 정보가 너무 부족해 세부 분류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설명했습니다.

레오니 택스 :북한도 특별 감시 대상국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북한은 위기 상황에 대한 내부 정보가 너무 부족한 상황입니다.

특히 북한의 영유아 사망률, 식량 안보 상황, 식량 가격, 그리고 인도주의적 지원의 필요 여부와 양에 대해서도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지 못하다고 이 기구는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