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농업기금, 북 대출사업 5년째 중단

0:00 / 0:00

앵커 : 가난한 나라 농민을 대상으로 대출 지원을 하는 유엔 산하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은 당분간 북한에 대한 지원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유엔의 대북 금융제재와 북한의 투명하지 못한 금융체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올해도 국제농업개발기금의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못했습니다.

파하나 하크 라만 국제농업개발기금 수석 대변인은 당분간 북한 농민을 위한 지원 계획이 없다고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파하나 라만 수석 대변인: 북한 사업은 2008년 이후 계속 중단 상태입니다. 당분간 북한에 대한 지원 사업 계획이 없습니다.

국제농업개발기금은 2011년부터 대북 사업 재개를 검토했지만 3년째 성사되지 않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대북 금융 제재와 북한의 불투명한 금융 구조가 사업 재개를 어렵게 만드는 대표적인 이유라는 분석입니다.

국제농업개발기금은1996년부터 2008년 6월까지 북한에 약 9천810만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북한의 가난한 농민에게 싼 이자로 돈을 빌려주는 형식으로 비단 원단 생산을 위한 양잠개발이나 농․축산복구, 고지대 식량안보 등 3대 사업을 주로 지원했습니다.

북한의 조선중앙은행에 기금을 전달하면 다시 지방 은행을 통해 북한 주민에게 전해졌는데, 평양에 상주하는 국제농업개발기금 직원이 없어 공정한 대출과 상환에 관한 감시가 어려웠다고 라만 대변인은 설명했습니다.

북한의 대출금 상환도 원활하지 못했습니다.

국제농업개발기금이 최근 공개한 2012연례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북한과 관련한 대출에 약 40만 달러가 손실로 기록됐습니다.

라만 수석 대변인은 북한에 대한 대출 사업 중단이 유엔의 대북 금융제재와 관련 됐냐는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지만 2008년 6월 이후 국제농업개발기금과 북한 은행의 금융 거래가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국제농업개발기금의 소액 대출 사업은 1976년 방글라데시의 모하메드 유누스 교수에 의해 처음 시작됐으며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 가난한 사람들의 빈곤 퇴치를 위해 담보 없이 돈을 빌려주는 제도입니다.

북한에서는 식량이 부족한 지역 내 협동 농장을 우선으로 특히 저소득층의 여성을 먼저 지원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