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현재 중국에 파견된 북한 근로자들은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통치자금 조성에 큰 몫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 당국도 이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길림성 도문시의 조선족 소식통은 “현재 약 100여명의 북한 여성 근로자들이 도문의 한 봉제공장에서 먹고 자며 일하고 있다”며 “밖에서 보면 북한 노동자가 있는 지 없는지 전혀 파악할 수 없다”고 10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공장 관계자로부터 이 사실을 직접 들었다는 소식통은 “현재 공장에는 근로자들을 총괄하고 있는 북한 측 행정관리가 한 명 있는데, 그는 중국어에 능통해 중국 공장주와 소통하고 있으며, 북한 영사관과 비자업무도 다루고 있다”며 북한 보위부 요원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중국 공상행정국도 북한 노동자들의 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조선족 소식통 : 중국측에서도 북한 해외 노동자들이 인원이 얼마나 들어왔는지도 모르던데요. 근로자들이 관광으로 들어왔든, 너무도 유동이 많으니까, 몇 퍼센트가 들어와 일하는 지 모르고 있어요.
그는 북중 양측이 이처럼 북한 노동자들을 가두어 놓고 일 시키는 이유는 노동자들의 일탈을 막으려는 북한당국의 요청도 있지만, 값싼 노동력을 몰래 쓰려는 중국 공장 측과 이해타산이 맞아 떨어진 결과라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에 들어온 북한 근로자들은 정식 취업비자를 받고 들어오는 경우가 별로 없고, 대부분 여행이나 공무 목적으로 단기 비자를 발급받고 와서 노동현장에 투입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료녕성 지방의 또 다른 소식통도 “중국 기업들의 영업활동을 감시 관리하는 중국 공상국도 이를 눈감아 주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 공장 측은 같은 직장의 중국 종업원들에게도 “북한 여성 노동자들이 요구하는 심부름을 들어주지 말라”고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과거 북한 여성근로자들은 필요한 생필품 등을 같이 일하는 중국 사람들에게 부탁해서 들여오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러한 행위도 차단시켰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중국 업주들은 북한 근로자 불법 고용 행위가 발각되면 중국 당국으로부터 벌금을 물어야 하기 때문에 북한 보위부의 요구에 협조해주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중국 소식통은 “중국 업자들은 업종과 대상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먹여주고 재워주고 북한 근로자 한 사람 당 인민폐 1,500~2,000위안($250~300) 정도 지급한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북중 국경지방을 방문했던 남한의 한 대학교 교수는 “북한 당국은 노동자 임금의 약 70%를 국가에 납부시킨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북한 근로자들은 중국에 갔다 오면 외화를 만질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뇌물을 바치고 출국한다고 그는 지적했습니다.
북한은 해외근로자 파견을 중국이나 러시아 등으로 하기 때문에 이 국가들의 협조가 없이는 북한의 돈줄을 차단하기가 어렵다고 그는 내다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