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중국이 지난해 북한 무산철광에서 북한산 철광석 50만 톤을 채취해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이 아시아 최대 노천 철광인 북한의 함경북도 무산철광에서 채취해 들여간 철광석(철정분 형태)이 지난해 50만 톤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무산철광과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지린성 허룽시 난핑을 통한 북한산 철광석 수입이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상무부는 중국 톈츠공업무역이 무산철광 개발에 발 벗고 나섰고 허룽시가 통관 간소화에 힘써 이같은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습니다.
실제 허룽시는 중국으로 반입되는 북한산 철광석 검사·검역 등 통관 간소화에 필요한 시설 확충을 위해 2천800만 위안 (약455만 달러)을 투입했습니다.
이 밖에 13억6천만 위안 (약2억2천만 달러)를 들여 허룽 도심과 난핑을 잇는 철도를 개통해 교통체증없이 철광석을 운반하고 있습니다.
앞서 중국 연변일보는 지난 해 1~8월 난핑통상구를 통해 북한산 철광석 38만6천 톤이 중국으로 반입됐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는 전년보다 두 배 가량 늘어난 수치로 중국 측의 무산철광 철광석 수입이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신문은 지난 해 9월 보도 당시 그 해 무산철광에서 채굴된 철광석 수입 목표량이 50만 톤이라고 전한바 있어 무난히 목표량을 채운 걸로 보입니다.
한편 상무부는 북한 양강도와 직접 연결돼 난핑통상구와 함께 대북 교역 요충지 중 하나인 허룽시 구청리통상구에 대한 대대적인 통관 시설 확충도 이뤄졌다고 전했습니다.
이를 통해 난핑, 구청리 양대 통상구의 연간 화물 처리량이 100만 톤을 넘어섰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