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형 석유회사, 북한서 파이프 수입?

0:00 / 0:00

MC: 최근 미국 대형 석유회사들이 북한에서 탐사 장비를 들여왔다는 기록이 공개돼 대북제재 위반 의혹을 샀지만, 한국과 북한을 혼동한 오기였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동부 팬실베니아 주에서 석유와 가스를 탐사하던 대형 에너지 회사들이 지역 정부에 2012년 10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북한과 모두 27건의 무역 거래를 했다고 보고했지만 수입국을 잘못 표기한 것이었다고 이들 회사는 해명했습니다.

팬실베니아 주 상원의원인 짐 브로우스터 의원실이 지난 주 공개한 자료를 보면, 북한과 거래했다고 보고한 정유회사는 두 곳입니다.

미국을 대표하는 대규모 석유회사인 쉐브론과 사우스웨스턴 에너지사가 2014년까지 2년 동안 북한과 각각 한 건과 26건 북한에서 석유와 가스 탐사용 파이프를 수입했다고 주 정부에 신고했습니다.

피츠버그 지역 신문사의 션 해밀 기자는 한때 이들 회사들이 북한과의 거래를 통제한 대북제재법을 어긴 것이냐는 의혹이 있기도 했지만, 한국과 북한의 영문 약자 표기의 혼동이 원인이었다고 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션 해밀 피츠버그 포스트 -가젯 기자: 한국의 영문 약자 "KR"과 북한의 "KP" 혼동했다고 이들 회사는 밝혔습니다. 두 회사는 현재 북한으로 잘못 기록된 내용을 모두 수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우스웨스턴 에너지사의 대변인은 이같은 사실이 공개된 직후 북한이 유엔과 미국 정부의 제재대상이어서 북한 물품을 수입할 경우 미국 정부의 강력한 처벌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북한과의 거래는 전혀 없었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해밀 기자는 2012년 10월부터 2년 동안 펜실베니아 주에서 진행된 4천500여건의 탐사 시도 중 30%인 1천 200건 정도가 주 정부 자료를 통해 공개됐다면서 한국을 북한으로 잘못 표기한 기록들이 더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북한으로 잘못 표기한 기록이 2012년과 2013년에만 발견될 뿐 2014년 이후부터는 전혀 없었다면서 미국 의회가 강력한 추가대북제재법안을 논의하는 등 대북제재에 대한 인식이 산업 현장에 확산되면서 한국과 북한의 표기 혼동도 사라졌을 수 있다고 풀이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