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검열 ‘전자 지도’에 북한 빠져

0:00 / 0:00

앵커 : 국가별 인터넷 검열 정도를 보여주는 '세계 전자 지도'가 나온 가운데, 북한은 인터넷 사용이 미미할 뿐만 아니라 현장 조사 자체가 불가능해 지도에 표시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영국의 인터넷 회사IVPN은 최근 인터넷 자유와 검열에 대한 '전자 지도'를 만들었다고 2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IVPN은 세계의 인터넷 검열 ('Internet Censorship Around the World')이라는 전자 지도(interactive map) 를 최근 미국의 인권 단체 '프리덤 하우스'의 협조를 받아 제작했습니다.

이 전자 지도에는 인터넷 검열을 하고 있는 국가들이 지도에 ‘인터넷 자유 국가’(Free), ‘인터넷 사용 부분적 자유 국가’(Partly Free), 그리고 ‘인터넷 사용 부자유 국가’(Not free)로 색깔 별로 구분돼 있으며, 관심 국가를 누르면, 그 국가의 인터넷 정책에 대한 설명이 나오게 돼 설계 됐습니다.

이 지도는 인터넷 사용 규제, 인터넷 상에 기재하는 내용에 대한 제한, 그리고 인터넷 사용자의 권리를 존중해 주지 못하는 국가 정책 등을 고려해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VPN 관계자는 23일 자유아시아방송과 한 전화 회견에서, 인터넷은 누구나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정보 활동을 편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장이라는 생각에서 이번 전자 지도를 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가운데, 북한은 인터넷 자유 국가 명부 뿐만 아니라, 제작 지도에서도 북한과 관련한 인터넷 정보가 포함되지 못했다고 IVPN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IVPN 관계자 : 인터넷 검열과 그 국가의 검열 정책은 해당 국가에 직접 가서 현장 조사를 해야합니다. 하지만 북한은 그러한 조사가 불가능 할 뿐 더러, 인터넷 자체를 대중들에게 허용하고 있지 있습니다.

북한은 외부세계와 연결되지 않고 북한 내에서만 이용되는 ‘인트라넷’을 제공하고, 일부 특권층만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점에 대한 북한 정부와의 조사 협조가 힘들고 현장 조사가 불가능하다는 설명입니다.

이번 제작 지도에 나타난 중국이나 베트남 등 인터넷 검열이 심각한 국가들을 보면, 게시 내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됐고, 혹은 인터넷 상에 기재한 내용에 대해 글쓴이를 처벌하는 등의 인터넷의 자유로운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지도 제작 관계자는 이어 이 전자지도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들의 반응이 뜨거웠다면서, IT 전문 웹진 BGR,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인 페이스 북, 트위터 등에서 ‘인터넷 검열 지도’가 화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IVPN은 영국 기반으로, 인터넷망과 같은 공중망을 사설망처럼 이용해 회선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기업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