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개성공단 출입 제한 강화

0:00 / 0:00

앵커 : 북한의 4차 핵실험 대응 차원에서 개성공업지구 출입을 제한하고 있는 한국 정부가 공업지구 출입 제한 조치를 더욱 강화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그에 따른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로 개성공업지구도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지난 7일 남한 정부가 입주 기업들의 개성공업지구 출입을 일부 제한한데 이어 또다시 인력 축소를 주문했습니다.

통일부는 11일 오전 정례회견에서 “1월 12일부터 개성공업지구 체류인원을 입주 기업의 생산 활동에 필요한 최소 수준으로 조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 우리 측에서의 대북확성기 방송에 따른 북측의 조치 내지는 동향 이런 것들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거기에 따른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 보호를 더 강화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조치가 이뤄진 것입니다.

이에 따라 입주 기업은 시설 관리 등에 필요한 최소 인력만 현지에 상주하고, 나머지 직원들은 당일 일정으로만 공업지구를 드나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식음료 지원 등 협력 업체 관계자들은 일절 공업지구에서 숙박할 수 없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 (개성공단 체류인원은) 기존 800명 내외 수준에서 650명 수준으로 될 것입니다.

통일부는 상황이 더 악화될 경우 추가 조치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개성공업지구의 한 관계자는 “개성공업지구 가동이 중단됐던 2013년의 악몽이 떠오른다”며 “상황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입주 기업들은 바늘방석에 앉은 기분”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개성공단기업협회 측은 “현재 개성공업지구 내부는 평소와 다름없는 모습”이라며 “다만 인력 축소가 더 확대될 경우 생산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8월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과 포격 등으로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됐을 때도 개성공업지구 출입경 대상을 최소 인원으로 제한한 적이 있습니다.

대북 전문가들은 핵실험의 여파가 워낙 커서 지난 지뢰 도발 때보다 인력 제한 조치가 더 오래 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