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준위 4명 개성공단 방문

0:00 / 0:00

앵커: 남한의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4명이 개성공단을 방문했습니다. 북측이 통준위의 해체를 요구하고 있는 시점이어서 주목됩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 국제보건의료재단 소속 9명이 25일 하루 일정으로 개성공단을 방문했습니다. 방문자 중에는 김성재 전 문화부 장관을 포함해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4명이 포함됐습니다. 북한이 통준위 해체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 이뤄진 방문이어서 주목됩니다.

우선 북측 지도부가 이들의 개성공단 방문을 알고 있었는지가 관심사입니다. 해체하라고 요구한 통준위의 구성원이 북한 땅을 밟는 걸 허용한 셈이기 때문입니다. 통일부는 북측의 인지 여부에 대해 “알 수 없다”고 말합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금번 방문 목적은 개성공단 보건의료 실태를 파악하고 지원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래서 보건의료 전문가 중심으로 방문단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통준위 사회문화분과위원들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북측이 이분들이 통준위 분과위원인지를 인지하고 있는지 그 여부에 대해서는 알 수 없습니다.

방문단은 모두 민간인으로 구성됐다고 통일부는 말했습니다. 이들은 탁아소와 병원 등 개성공단 내 보건의료 관련 시설을 둘러보고 남측으로 돌아갔습니다.

통일부는 이들이 북측 근로자의 ‘모자 보건’과 관련한 인도적 협력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개성공단을 중심으로 한 탁아소 지원을 포함한 모자보건 사업은 올해 남측 정부가 중점 추진키로 한 대북사업 중 하나입니다.

북측은 최근 정종욱 통준위 민간 부위원장의 ‘체제통일’, 즉 흡수통일 발언을 문제 삼으며 통준위 해체를 요구해 왔습니다.

정종욱 부위원장은 지난 10일 서울에서 열린 조찬 강연에서 “비(非)합의 통일이나 체제통일에 대한 팀이 우리 조직에 있다”고 말했다고 중앙일보가 11일 보도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정 위원장은 11일 ‘체제통일’이라는 용어를 선택한 것이 “적절치 못했다”고 말하면서 통준위 내에 흡수통일을 준비하는 조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해 7월 출범한 통일준비위원회는 대통령 직속 정부·민간 합동 기구이며, 박근혜 대통령이 위원장을, 그리고 통일부 장관이 정부측 부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그간 북측은 공식 발표와 언론 보도 등을 통해 통준위를 체제통일, 즉 흡수통일을 겨냥한 조직이라고 주장하며 반발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