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개성공업지구 북측 근로자들의 임금 문제가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임금 지급 시한을 넘겼습니다. 입주 기업들은 대부분 남측 정부의 지침대로 북측이 요구한 임금 인상을 거부했는데요. 북측 당국이 앞으로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업지구 근로자 임금 지급 시한인 24일, 입주 기업들은 대부분 북측이 요구한 5.18%의 임금 인상을 거부했습니다. 남측 정부의 지침을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123개 입주 기업 가운데 20여 곳만이 임금 인상을 고려해 3월분 임금을 북측에 지급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종전대로 월급을 지급하고 나머지 인상 금액과 연체료에 대해선 추후에 정산하겠다는 내용의 담보서를 써 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러나 남측 정부는 기업들이 제출한 담보서에 대해선 인정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 일단은 우리 기업들이 담보서에 서명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 정부의 기본입장입니다. 만일 북측이 담보서에 서명하지 않았다고 임금 수령을 거부한다면 결국엔 임금 지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겠죠.
이제 개성공업지구는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렵게 됐습니다. 입주 기업들은 2년 전 개성공업지구 사태를 떠올리며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그야말로 좌불안석입니다.
사실 기업들은 마지막 날까지 남북 당국의 극적인 타협을 기다렸습니다. 그러나 실낱같은 희망은 곧 실망으로 이어졌습니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 : 이러한 남북관계 상태에서는 개성공단은 남북공동의 공단이 아니고 북한 공단입니다. 북한의 통치권 아래에 있는 공단 아니겠습니까.
통일부는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 정부중앙청사에서 입주 기업 대표단을 초청해 긴급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황부기 통일부 차관은 모두발언에서 “일부 기업이 임금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담보서에 서명했다”며 “이런 행위는 문제 해결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황 차관은 또한 정부의 지침을 어기고 담보서를 제출한 기업에 대해선 “상응하는 행정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간담회는 황 차관의 모두발언까지만 공개되고 이후 비공개로 진행됐습니다.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는 개성공업지구 근로자 임금 문제. 북측이 앞으로 어떤 결정을 내놓을지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