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기업 “개성공단 정상화만이 살길”

0:00 / 0:00

앵커 : 개성공업지구 잠정 폐쇄로 위기에 빠진 입주 기업들을 돕기 위한 한국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입주 기업들은 재정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공업지구 정상화를 위해 정부가 좀 더 적극 나설 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은행권이 개성공업지구 중단 사태 이후 지난달 말까지 입주 기업 63개 회사에 총 1천206억 원을 지원했다고 한국의 금융위원회가 7일 밝혔습니다. 1천206억 원은 미화로 환산하면 1억 달러가 넘는 금액입니다.

은행권은 또 25개 업체에 약 866억 원, 즉 8천만 달러 규모의 지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정부 관계기관인 정책금융공사와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은 입주 기업에 대한 대출 상환 만기를 연장했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은행은 ‘개성공업지구 입주기업 특별지원 자금’ 5천만 달러 정도를 조성했습니다.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입주 기업들의 어려움을 최대한 반영해 기준 금리보다 낮은 이율로 대출해주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지방 정부에서도 입주 기업을 돕기 위해 지원에 나섰습니다. 인천시는 7일 개성공업지구 잠정 폐쇄에 따라 경영안정자금 추가지원을 골자로 하는 지역 기업을 위한 긴급 지원안을 마련했습니다.

이에 따라 인천시에 있는 16개 입주 업체는 대출 심사가 끝나는 대로 자금 지원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강원도도 입주 기업을 위한 경영안정자금 지원에 나섰습니다. 강원도는 7일 “원주시에 본사를 둔 입주 업체 SNT스포츠에 중소기업육성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정작 도움을 받는 공업지구 입주 기업들은 “정부의 재정 지원이 실효성이 떨어진다”며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김규철 남북포럼 대표 : 정부가 지금 하는 것은 말 그대로 금융지원입니다. 이것은 향후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조건으로 지원하는 겁니다. 입주 기업들은 (개성공단을) 재난 지역으로 선포해준다든가 투자에 대한 손실 보전 등을 해달라는 겁니다.

개성공단기업협회 한 관계자도 7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재정 지원보다 공업지구 정상화를 위해 정부가 적극 나서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개성공업지구 잠정 폐쇄로 실의에 빠진 입주 기업들. 하루하루 더해가는 상처와 아픔 속에 공업지구가 조속히 정상화되기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