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들은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가 한반도 평화정착과 북한 주민들의 민생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과 북한정권 유지를 도울 뿐이라는 견해로 엇갈린 반응을 보였습니다. 김수인 인턴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사회를 직접 경험한 탈북자들은 민간차원의 대북 인도적 지원에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정부주도의 남북교류엔 찬반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한국의 탈북자단체인 세계북한연구센터 안찬일 소장은 31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금강산관광과 개선공단재개와 관련해 한국정부가 북한과 협상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안 소장은 남북한이 협상을 통해 그 동안 논란이 돼온 대북 현금지급 관행을 쌀 등 현물지급으로 바꾸는 등 북한 주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런 노력을 통해 문재인 정부가 역대 정부의 ‘햇볕정책’과 압박을 녹여낸 새로운 대북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탈북자도 개성공단을 통해 그 동안 비록 일부이긴 하지만 북한 주민들이 꽤 많은 혜택을 누려왔다며 개성공단 재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는 개성공단이 북한 근로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했을 뿐 아니라 남한의 자본주의 문화를 직접 접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를 줬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 동안 함경북도 등 북중 국경지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부 정보를 접하기 어려웠던 북한 주민들이 개성공단을 통해 남한과 관련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겁니다.
반면 정부차원의 남북 교류에는 반대하는 목소리도 여전합니다.
역시 탈북자단체인 북한민주화위원회 허광일 위원장은 개성공단 재가동이 북한 정권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뿐이라며 반대입장을 밝혔습니다.
허 위원장은 북한이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대금을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에 전용해왔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다만 민간차원의 대북 인도적 지원은 지원과정의 철저한 감시를 전제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