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개성공업지구 북측 근로자들의 5월분 임금 지급이 오는 10일부터 진행되는데요. 임금 협상을 하기로 했던 남북 당국은 아직 협상장에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이를 지켜보는 기업인들의 마음은 답답하기만 합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지난 2월부터 갈등을 빚었던 개성공업지구 북측 근로자 임금 문제.
남북은 정치 문제로 3개월 가까이 방치해 오다가 지난달 22일에서야 해결에 나섰습니다. 당시 남북은 개성공업지구 임금을 기존 기준에 따라 지급하되, 지난 3월 1일부터 발생한 임금의 차액과 연체료는 추후 정산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개성공업지구의 전반적인 임금과 노동 규정을 논의하려면 우선 당국 간 협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남북공동위원회를 열자는 남측 정부의 제의에 북측은 좀처럼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 : 이번 6월 20일이 또 5월분 임금을 지급해야 되는 시기인 점을 감안해서 우리 정부는 우선 관리위와 총국 간에 임금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을 먼저 추진하도록, 그렇게 노력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북측이 공동위 개최에 호응해 오고 있는 동향은 없습니다.
남북이 추후 협의 시까지 임금문제를 큰 틀에서 합의한 만큼 아직은 생산 활동에 큰 무리가 없다는 게 기업인들의 설명입니다.
개성공단기업협회 정기섭 회장은 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최저임금 인상폭 5%를 고집하면 당국 간 접점 찾기가 불가능할 것”이라며 “융통성 있게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회장은 그러면서 “정치 문제로 공업지구 사업 운영에 차질이 생겨서는 안 된다”며 정경분리의 원칙을 거급 강조했습니다.
앞서 남측 정부는 정부의 지침을 어기고 3월 분 임금을 북측에 납부했던 기업들에 대해 경고 조치를 내렸습니다.
남측 정부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보였지만, 북측의 압박으로 기업들이 어쩔 수 없이 임금을 납부한 것으로 판단해 비교적 가벼운 경고 조치로 마무리했습니다.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는 경고에 그쳤지만 또다시 위반할 때는 제재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북측은 지난 2월 말 근로자들의 월 최저임금을 3월분부터 70달러 35센트에서 74달러로 5.18% 인상해달라고 일방적으로 통보했습니다. 남측 정부는 남북 간 합의 없는 일방적인 임금 인상은 수용할 수 없다며 지난달 22일까지 맞서왔습니다.